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제관계학개론_중간고사 내용 정리 Ver2_200520_R0
    교양 과목 족보 2020. 5. 20. 01:49

    국제관계학개론 중간고사 범위의 내용 번역본입니다.

    ctrl + F를 통해 찾아가시면서 시험을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거에요

    족보를 구하셔서 문제를 풀어보시면 좋은 성적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올려드리겠습니다.

     

    LESSON 2: WHAT IS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i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국제관계입문], and throughout this semester, we will be covering various asp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irst of all, we need to define the subject of this course,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politics,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global politics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yet each has a distinct meaning.

     

     

     

     Foreign policy [외교정책] is a study of state A's objectives and actions toward state B. In other words, it involves a unilateral action by state A toward state B. Thus, we speak of "American Foreign Policy toward China"[미국의 대중국 외교정책] or "Russian Foreign Policy toward Japan" and so on.

     

     

     

     International politics (IP) [국제정치] means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sovereign states." It involves bilateral actions between two or more states. Thus, we speak of "international politics of Northeast Asia," which deals with political interactions among the U.S., Russia, China, two Koreas, and Japan. To give you an analogy, foreign policy is a "one-way street," whereas international politics is a "two-way street." Both international politics and foreign policy involve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states (or governments).

     

     

     

     International relations (IR), [국제관계] however, refers to "all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the members of separate societies."(Holsti, 10) International relations consists of non-governmental and governmental interactions. Therefore, international relations is more inclusive than international politics.

     

     

     

     Exampl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e international law [국제법], international organizations [국제조직], the International Red Cross, international trad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international tourism. International politics differ from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at the former involves only political interactions and the latter includes political and non-political interactions.

     

     

     

     IP is not concerned with international interactions except where they affect inter-governmental relations. The "ping-pong diplomacy" was u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esablish diplomatic links with the US. The US and China did not have any official relations between 1949 and 1971. In early 1971, at the invitation of Communist China, an Amiercan ping pong team went to Beijing for a match with a Chinese team. Again, this ping pong match took place for political reasons and with political consequences. Therefore, this particular ping pong match belongs to international politics. But an ordinary ping pong match between U.S. and China does not have political connections, and therefore should belong to international relations.

     

     

     

     As you can see in this example, it is NOT always easy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 two and, in actualit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politics are frequently used interchangeably. World politics is also used synonymously with international politics or international relations.

     

     

     

     Global politics[지구정치] deals with global issues and problems, and views the world as a single village consisting of more than five billion individuals. It deals with quality of life, rather than with peace and war or economic equality. It focuses on global problems such as population growth, air and ocean pollution, natural habitat, and depletion of the ozone layer.

     

     

     

    In addition, we need to understand a couple of more concepts, i.e., transnational relations and area studies.

     

     

     

     Transnational relations (TR)[초국가적관계] is defined as the movement of tangible and intangible items across state boundaries when at least one actor is not an agent of a government or an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Joseph Nye and Robert Keohane, eds., Transnational Relations and World Politics, 1971, p. xii) If interactions involve "non-governmental actors -- individuals or private organizations--, then we consider thse interactions "transnational." Thus, a transnational interaction may involve governments, but it may not involve only governments because nongovernmental actors must also be part of the interaction. Examples of TR include transnational communication, transportaion, finance, and travel. Nye and Koehane feel that intl relations has been too much concerned with the nation-state as the central actor in the international system, with the "high politics" (as opposed to low politics), of power and influence, and with international conflict rather than internaitoanl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billiard ball model." [당구공모델] They argue that the real n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s transnational rather than international, involving many international actors and myriads of linkages at many levels of interaction. They also argue that a "cobweb model" [거미줄모델] rather than "billiard ball model" more accurately describe international interactions.

     

     

     

    High Politics vs. Low Politics [고위정치 대 하위정치]

     

     

     

     

     

     

     Area studies [지역인구] have traditionally meant broad and in-depth knowledge of a particular country or region. According to Alfred Meyer area studies means the attempt to gain comprehensive knowledge of some culture or group of cultures found in some portion of our globe. The area specialist must steep himself in a brew of knowledge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history, economy, social structure, literature, ethnography, of the people in the area, to say nothing about its geography. To give some examples, a China specialist studies Chinas history, culture, politics, economics, and the language. Likewise, a Latin America specialist should be conversant with Latin American countries history, language, culture, and others. During the heyday of the Cold War, especially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area specialists, especially Soviet or China specialists, were in high demand in the U.S. At that time, the government and a number of private foundations of the US provided strong support, financial and otherwise, for area studies (to acquire many area specialists)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enemies. In the post-Cold War era, Arab specialists are in big demand in the US since terrorists from the Arab world are posing grave threats to US security.

     

     

    LESSON 5. THE STATE AND SOVEREIGNTY [국가와 주권] 

       

       Earlier we defined international politics as political (or governmental) interactions between and among states. We will now discuss the state and state sovereignty. What is the state? How does the state differ [국가] from the nation [민족]?

     전에 우리는 국가 간의 정책적 상호작용으로써의 국제 정책을 정의한 적이 있다. 이제 우리는 국가와 국가 주권에 대해서 토론해 볼 것이다. 무엇이 국가인가? 국가가 민족이랑 어떻게 다른가?

       

       The State is an institution..[제도] That is to say, it is a system of relations which people establish among themselves as a means of securing certain objects, of which the most fundamental is a system of order[질서]. Modern states are territorial [영토적] . Their governments exercise control over persons and things within their borders.

     

    국가는 하나의 제도이다. 사람들이 그들 사이에서 확립한 어떤 확실한 목표를 위해 굳게 지키는 것으로써의 하나의 연결 체계라고 말 할 수 있다. 현대 국가들은 영토적이다. 현대 국가들의 정부는 사람과 국경안의 것들을 통제하는 훈련을 한다.

     

       

       Four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for a state to exist. That is, a state should have a people [국민], territory [영토], a government [정부], and sovereignty [주권].

     국가를 존속하기위해선 네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국가는 국민과 영토, 정부와 주권이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i) a people (or populations): An aggregate of individuals of both sexes who live together as a community. They may belong to different races or creeds, or be of different color.

     

    국민(인구): 공동체로써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집합이다. 그들은 다른 인종이나 교의가 다를 수 도 있고 다른 색(피부색을 뜻하는 듯)에 속할 수 도 있다.

       ii) territory. Land in which the people has settled down. A wandering people, like the Jewish nation before the State of Israel was established in 1948, is not a state.

     영역: 국민들이 정착한 당이다. 이스라엘이 1948년에 확립되기 전에 유대인같이 방랑하는 국민들은 국가라고 볼 수 없다.

       iii) a government. One or more persons who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and rule according to the law of the land. An anarchistic community is not a state. Lebanon in the early 1970s and Somalia in the 1990s, which did not have effective government over its population, are not states. Anarchic community is not a state.

       정부: 국민과 통치하의 법적 구역을 대표하는 하나 혹은 이상의 사람들 이다. 그들의 인구를 통치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정부가 없던 1970년대의 레바논과 1990년대의 소말리아는 국가라고 볼 수 없다. 무정부 사회는 국가라고 볼 수 없다.

       iv) sovereignty. Sovereignty is a supreme authority [최고권한] which is independent of any other earthly authority.

     주권: 주권: 주권은 모든 지상 권위에 독리적인 최고권한이다.

       

     Types of the state 

       States are of different types. In terms of power and interests, states may be divided into (1) global powers; (2) regional powers; and (3) local powers.

     국가의 형태

    국가들은 여러 개의 타입으로 이뤄져있다. 힘과 중요도의 조건에서 국가는 (1)세계적 강대국 (2) 지역적 강대국 (3)국부적 강대국 으로 나눌 수 있다 

     

    A global power[전세계적강대국] has interests throughout the globe and has the power to protect them. Until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in 1991, we had two super powers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d now the US is the sole remaining global power. The U.S. still maintains interests all over the world, and still retains the power projection capability to protect its interests any part of the world.

     전세계적 강대국은 지구 전체를 통틀어 중요도를 가지고 있고 그들을 보호할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소비에트 왕구이 1991년 붕괴하기 전까지 우리는 U.S와 소비에트 연합이라는 두 개의 초강대한 힘이 있었다. 지금에 와서는 US만이 혼자서 전세계적 강대함을 이어가고 있다. US는 여전히 전 세계에 걸쳐서 중요함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중요성을 보호하기 위해 세계 어떤 곳에서나 여전히 힘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 global super power [전세계적초강대국] is a super power that has the nuclear capability to wipe the human race off the face of the earth instantly.

     전 세계적 초강대국은 지구상에 있는 인류를 소멸 시킬 수 있는 핵 능력의 초 강대함이다.

     

    The major power [주요강대국] is a generic term [일반적인 용어], used in 18th-early 20th century, to refer to the major players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주요 강대국은 18세기초부터 20세기까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국제 정치의 주요 행위자 를 대체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됐다 .

       

       A regional powers [지역강대국] interests and power extend to the country and the region it belongs to. Russia, Great Britain, France, and China all fall into this type.

    지역강대국의 중요성과 힘은 국가와 주변지역에 뻗친다.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등이 모두 이 지역강대국 타입에 속한다

     

    A local powers [국지강대국] interests and power are limited to the country and its immediate proximity. Most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Singapore, Vietnam, and Nicaragua are of this type.

     국지 강대국의 중요성과 힘은 국가와 바로 인접한 국가에 한정돼있다. 남한, 싱가폴 베트남 니카라과(나라이름 맞나 좆나 특이하네?) 등 대부분의 국가가 이 타입에 속한다.

       

       States also vary in terms of territorial size, population, economic capabilities, and military strength. Russia is the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and its territory encompassed 1/8 of the global land surface (There are 7 different time zones in Russia.) In contrast, dwarf states [난장이국가] like Liechtenstein, Monaco, and San Marino all have the territorial size of a city. Singapore is no more than a city state [도시국가]. In terms of population, China is the largest (1.4 billion) country, and Chinese constitute ¼ of the world population. A south pacific state, Nauru has a population of 6,000. Japan has annual per capita incomes of over $20,000, a high degree of income equaility, high rate of literacy. Many countries in Africa, South Asia, Central America have poverty, low life expentency, and low literacy rate.

      국가는 또한 국토의 넓이, 인구, 경제적 능력, 국방력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다양하다.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다 그것은 전 세계의 1/8을 차지한다.(러시아에는 7가지의 시간 영역이 있다[아마 기준시간 얘기하는 듯 시차 매기는 그거]) 이와는 반대로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산마리노 같은 난쟁이 국가들은 도시크기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 이상이 아니다. 인구의 측면에서 보면 중국이 14억의 인구로써 가장큰 나라이고 중국은 전세계인구의 1/4을 구성하고 있다. 남태평양 나라, 나우루 공화국은 6천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1인당 년간 수입은 2만불이 넘는다. 높은 수준의 수입은 높은 교육율과 직결한다.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와 남아시아 중미지역은 가난, 낮은 삶의 질, 낮은 교육률을 가지고 있다.

       

     

     

     

       The Nation [민족] connote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common traits such as history, culture, ethnicity, religion, and language. However, a nation and a state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For example, the UN consists of over 185 sovereign states, yet it is called the United Nations.

      민족은 역사, 문화, 민족주의, 종교, 언어 등 공통 특색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말고도 다른 뜻을 갖는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은 자주 바꿀 수 있게 사용된다. 예로써 UN 185개를 넘는 주권국들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United Nation으로 불리운다.

       

       Why do we have an anarchic international system? Why do we have security dilemma[안보딜레마]? State sovereignt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se phenomena. State sovereignity leads to anarchy and security dilemma. What then is sovereignty?

      왜 우리는 세계적 무정부 체계를 가지고있나? 왜 우리는 안보딜레마를 가지고있나? 국가의 주권이 이 사건들을 이해하는데 열쇠가 된다. 국가의 주권이 무정부 상태와 안보딜레마를 이끌었다. 그렇다면 주권은 무엇인가?

       

       Sovereignty[주권] refers to supreme law-making and law-enforcing authority within a territory. [한 영토내의 최고 입법 및 법집행 권한] The modern conception of sovereignty was first formula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ty with the emergence of the territorial state [영토국가]. By the end of the Thirty Years' War [30년 전쟁] (1648), sovereignty as supreme power over a cerain territory was a politial fact, signifying the victory of the territorial princes[영토적 군주] over the universal authority [보편적인 권한] of emperor and pope, on the one hand, and over the particularistic aspirations of the feudal barons, on the other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p. 315). The monarch was became sovereign. That is, he was the sole source of man-made law (or positive law) [실정법] but he was not himself subject to it. He was above the law. But his power was not limitless since he was bound by the divine law [신성법] and natural law [자연법].

     주권은 한 영토내의 최고 입법 및 법집행 권한을 대신한다. 현대의 주권개념은 17세기 후반의 영토국가의 출현으로 처음 공식화 됐다. 1648 30년 전쟁의 끝으로, 확실한 영역을 덮는 최고의 힘으로써의 주권은 정치적인 요소, 황제와 교황의 보편적인 권한을 넘어서는 영토적 군주의 승리를 의미했다.  군주가 주권이 된다. 그것은 그만히 유일하게 실정법을 만들 수 있음을 말한다. 그러나 그는 법을 지키기위해 그 자신에게 지배를 받지는 않았다(말이어렵노;; 그냥 법에 지배를 안받는다는 말.) 그는 법위에 있었다. 그러나 그의 힘은 신성법과 자연법의 경계라는 제한이 있었다.

       

      

     

     

     

     

    Closely related to sovereignty are independence and equality. The term independence [독립] denotes the status of a state which controls its own external relations without dictation from other states. In this sense, independence has a negative connotation (that is, freedom from control by other states). In this context, we speak of US independence FROM British rule o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독립과 주권은 밀접하게 관계되어있다. 독립은 남의 국가에 간섭을 받지 않고 대외관계를 컨트롤 할 수 있는 국가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독립은 부정적인 뜻이 함축되있다(그것은 다른 나라의 지배로부터 자유라는 것이다) 이런 전후관계로 우리는 미국의 영국으로 부터의 독립, 한국의 일본으로 부터의 독립 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notion of state equality [국가평등] was introduced into the theory of international law by the naturalist writers. The reasoning was that as states are still in a state of nature, states must be equal to one another. Are states actually equal? Is the US (the sole superpower) equal to Nicaragua (a small state)? Is China (the most populous state in the world) equal to Nauru (a South Pacific island state with a population of 6,000)? Is Japan (the second economic power) equal to Cambodia (one of the poorest country)? The answer is NO. The fact is that states are NOT equal in terms of military power, economic capabilities, political influence, and others.

     국가 평등의 관념은 자연 주의자 작가에 의해 국제법의 이론으로 소개 되었다. 추론은 국가는 여전히 자연적인 것으로써 서로서로 동등해야 한다는 것 이었다. 실제로 국가가 동등한가? 초강대국 미국이 작은국가 니카라과와 동일한가? 인구가 가장많은 중국이 6000명의 인구를 가진 나우루와 동일한가? 2의 경제 대국 일본이 가장가난한 국가중의 하나인 캄보디아와 동일한가? 대답은 아니오 이다. 사실은 어떤 나라의 국방력,  경제력, 정치적 영향력의 측면에서 다른 국가와 다르다는 것이다.  

      

     What then do we mean by state equality? State equality means that states are equal in the legal sense[법률적인 의미]. States legal equality means the following things: (1) when a question arises which has to be settled by consent, every state has a right to a vote and to one vote only; (b) that the vote of the weakest state has as much weight as the vote of the powerful; (c) that no state can claim jurisdiction [관할권]over another; and (d) that the courts of one state do not question the vality of the official acts of another state in so far as those acts purport to take effect within the latter's jurisdiction (Morgenthau, p. 131). In short, state equality basically means one state, one vote [한 국가, 한 투표] in reaching a decision based on consensus. But that does not mean states are equal politically, militari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tates are theoretically (or legally) equal, and therefore when states make a decision they need unanimous vote. Why unanimity? Because the state posseses sovereignty (supreme law-making and law-enforcing authority), it is not bound by a decision without its own consent.

     그렇다면 국가적 평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국가적 평등은 국가가 법적인 측면에서 동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적인 국가 평등은 다음의 상황을 의미한다: (1) 동의(다수결 투표 이런걸 의미하는 듯)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는 질문이 발생할 때 각 국가에서는 투표할 권리를 가지고있고 각각 1표씩 투표 할 수 있다. (B) 가장 약한 국가의 한표라도 강대국의 한표와 동일한 무게를 가진다(강대국 한표나 찌질이 국가 한표나 같다는 말인 듯). (c)어떤 국가도 다른 어ᄄᅠᆫ 국가의 관할권을 요구 할 수 없다 (d) 그리고 한국가의 법정은 다른 국가의 관할구역 안의 공식적 행동의 vality를 묻지 못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국가평등은 기본적으로 투표에 의해서 결정될 사항에 있어서 한국가 한투표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은 국가들이 정책적,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동등함을 가진다는 것은 아니다. 국가는 이론적(또는 법적)으로 동등하고 그러므로 국가가 결정을 만들때에는 만장일치의 투표가 필요하다. 왜 만장일치인가? 국가는 주권(최고입법과 법률실시권)을 소유하고 그것이 동의없이 만들어 지는 것을 경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유엔총회], EVERY member state has one vote and each vote weighs equally. So the US has one vote and a tiny state like Honduras also has one vote. The Charter of the UN had eliminatd the national sovereignty of those member states which are not 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안보리]. Unequal representation and majority decision in international agencies (as in the UN Security Council) are incompatible with the sovereignty of the states.

     유엔총회에서는, 각 회원 국가에는 1개의 투표권이 있고 각 투표는 동등하게 무게를 가진다. 그래서 미국도 한 개의 투표권을 가지고 온두라스 같은 작은 국가도 한 개의 투표권을 가진다. 유엔헌장은 이런 안보리의 비 영구 회원국들의 국가적 통치권을 없앴다. 국제적인 기관(유엔안전 이사회같은)에 있는 대표 그리고 다수결은 국가의 주권자에 상반된다.

     

    LESSON 6. THREE LEVELS OF ANALYSIS [3개의 분석수준] 

       

       Various levels of analysis help us understand and explain international political phenomena. For example, we can explain the causes of war by using three levels of analysis--systemic, state, and individual levels. We can maintain that the na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causes war (systemic-level analysis). We can argue that the attributes of a state cause war (state-level analysis). Or we can postulate that the personality [개성] of a political leader causes war (individual-level analysis).

     다양한 수준의 분석이 국제적 정책 사건의 이해와 설명하는 것을 도와준다. 예로써 우리는 전쟁의 원인들을 삼단계의 분석수준으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체제수준, 국가수준, 개인수준에서. 우리는 국제체제가 전쟁을 유발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체제 수준의 해석 [근데 이거 뭔말이지 왜 maintain이야? 국제 체제가 전쟁의 원인이 된다는 말인거같은데..]) 우리는 국가가 전쟁의 탓이라고 주장할 수 도 있다(국가 수준의 분석) 아니면 우리는 정책지도자가 전쟁을 유발한다고 가정 할 수 도 있다(개인수준의 분석)

       

      Systemic-level [체제수준] analysis emphasizes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system upon the state actors [국가행위자]. Systemic level theory is a very broad approach that delineates the main features of international political processes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It includes all of the interaction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and betwee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its environment.

     체제수준의 해석은 국가행위자가 국제 체제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체제수준의 이론은 비교적 긴 시간에 걸친 국제적 정치의 진행사항의 주된 모습을 묘사하는 매우 넓은 접근이다. 그것은 모든 국제정치 체제 그리고 국제 체제와 그 주변 환경 사이의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A system [체제] exists in an environment and is composed of parts that, through interaction, are in relation to each other. A system contains a structure [구조] and encompasses processes [과정]that either sustain or change it.

     체제는 서로를 향한 관계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주변 환경 안에 존재하고 그것의 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체제는 구조와 과정을 포함하며 그것들을 유지하거나 바꿀 수 있다. 

      

     

     

     

     

    In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structure means the distribution of power [힘의 분배] and processes refers to patterns (or types) of interaction [상호작용의 패턴 혹은 유형] among its units.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includes unipolarity [일극체제] (one power dominance), bipolarity [양극체제] (two power dominance), and multipolarity [다극체제] (a few power dominance).

     국제 정책 체제에서, 구조는 힘의 분배 그리고 그들의 단위안에서 상호작용의 패턴 혹은 유형을 뜻한다. 국제체제의 구조는 일극체제 양극 체제 다극체제를 포함한다.

     

       

       The process (or patterns of interaction) may include cooperation or conflict [갈등]. The process of an international system, in turn, is determined by (1) its power structure, (2) the incentives and capabilities that states have for cooperation (i.e.,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3) the goals and instruments of the states (i.e., revolutionary or status quo goals). What you need to remember is that the structure (unipolarity, bipolarity or multipolarity) tends to determine the process (or states behavior in term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과정(또는 상호작용의 패턴)은 협력이나 갈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 국제체제의 과정은 차례대로 (1) 그것의 권력 구조 (2) 국가의 협동을 위해 갖는 격려와 능력(경제 상호 의존 및 국제적 제도), (3) 국가의 목표 및 계기(혁명 또는 현상 목표) 에 의해 결정 된다.

    당신이 기억해야 돼는 것은 구조(단극체제 양극체제나 다극체제)가 그 과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또는 국가의 협동이나 갈등의 행동에)

       

       Let me illustrate what I just said. In the post-Cold War era, we are now living in a unipolar system [일극체제] (in political and military terms) in which the US remains the sole global superpower. President G.W. Bush decided and carried through his plan to invade Saddam Husseins Iraq in March 2003 despite strong oppositions from other major powers, especially, France, Russia, Germany, and China. G.W. Bush simply ignored what other countries were saying and started the war and conquered Iraq.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unipolar power structure or US predominanc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 US behavior (invasion of Iraq) was determined or circumscribed by its power preponderance.

     내가 방금 밝힌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냉전 후의 시대, 우리는 지금 미국이 단하나의 세계적 초 강대함을 유지하고 있는 일극체제(정책적 군사적 측면의)에 살고 있다. 조지 부시는 프랑스 러시아 독일 중국 같은 다른 주요 강대국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3 3월 사담후세인의 이라크를 침략하기로 결정했다. 부시는 다른 국가의 말을 간단히 무시하고 이라크전쟁을 시작하고 이라크를 공략하였다. 이것은 단일 체제이기 때문이거나 미국이 국제 체제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미국의 행동(이라크침략)은 미국의 우위에 의해 결정되었다.

     

       

       During the Cold War era (1947-1991), the international power structure was bipolar, in which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two superpowers roughly equal in military and political capabilities. At that time the world was divided into two camps (pro-American and pro-Soviet), and most countries belonged to one or the other. In a bipolar structure, the US could not have initiated the Iraqi war since such a move would have easily led to an all-out nuclear war with the Soviet Union. Again international power structure constrains states behavior.

     냉점시대 도중(1947-1991), 국제적 힘의 구조는 미국과 소련연합의 국방력과 정치적 역량에서 거의 같은 두 개의 초강력 양극체제였다.  냉전시대에는 세계가 두 개의 캠프(미국지지자와 소련지지자)로 나뉘었고, 대부분의 국가가 이 두 개중 하나를 따랐다. 양극 체제에서, 미국은 이라크 전쟁 같은 움직임이 소비에트 연방과 전면핵전쟁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이라크 전쟁을 개시할 수 없었다. 다시 한번 국제적 힘의 구조가 국가의 행동을 한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European system before World War I (18th century ? 1914) were multipolar in which a few (5-8) major powers maintained the balance of power [세력균형], and no single power dominated the system. Such multipolar power structure also constrained states behavior.

     1차 세계대전 전의 유럽 체제는 (18세기? 1914) 5~8개의 주된 힘이 세력균형을 유지하는 다극 체제였고 체제를 위압하는 단일 힘은 없었다. 이러한 다극 힘의 구조도 또한 국가의 행동을 한정했다.

     

       

      

     

     

     

    Most systems have some basic rules. States can challenge those rules and practices or they accept them. An international system may have a stable or revolutionary process depending on the goals of the major states. Napoleon spread this revolutionary idea of popular sovereignty [국민주권] throughout Europe, and the Napoleonic wars posed an enormous challenge to both the rules of the game and to the balance of power. The French Revolution changed the social organization of war and led to the draft system [징병제] (as opposed to mercenaries [용병]). Citizens rallied to the motherland. War was no longer a matter between a few thousand mercenaries who campaigned far away; war now involved everyone. The change in the means available to states also helped to change the process of the 18th century international system.

    대부분 체계는 몇 개의 기본적인 규칙을 갖는다. 국가는 그 규칙에 도전할 수 있고 연습하거나 받아들일수 있었다. 국제적인 체계에서는 안정적이거나 혁명적인 과정은 주요 국가의 목표에 의존한다. 이런 국민주권의 혁명적 아이디어는 나폴레옹에 의해 전 유럽에 퍼졌고

    나폴레옹 전쟁은 게임의 규칙과 힘의 균형에 대한 거대한 도전의 태도를 취했다. 프랑스 혁명은 전쟁 사회 조직을 바꾸고 징병제로 이끌었다(용병과는 대조적으로). 시민들은 모국에 재편성되었다. 전쟁은 더 이상 아주 몇 천명의 용병 사이의 일이 아니었다. 전쟁을 모든 사람을 포함했다. 국가에 유효했던 변화는 또한 18세기 국제 체계의 과정을 바꾸는 것을 도왔다 

     

       

       In 1917, when the Bolsheviks came to power in Russia, they regarded the whole system of interstate diplomacy as bourgeois nonsense. They believed that revolutions would unite all the workers of the world and abolish borders and that transnational proletarian solidarity would replace the interstate system. When Leon Trotsky took charge of the Russian foreign ministry, he said his intent was to issue some revolutionary proclamations to the peoples and "close up the joint." But the Bolsheviks found themselves part of an interstate system, and that began to affect their behavior. In 1922, the Soviet Union signed the Treaty of Rapallo with Germany. It was an alliance of outcasts. And in 1939, Joseph Stalin entered a pact with his ideological archenemy, Adolph Hitler, in order to turn Hitler westward. Soviet behavior soon became similar to that of other actor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1917, 볼셰비키가 러시아의 권력이 되었을 때, 그들은 부르주아 넌센스로써 주연합의 외교술의 전체 체계를 간주했다. 그들은 혁명이 세계의 모든 노동자를 결합하고 국경을 폐지 할 것이라고 믿었고 초국적 프롤레타리아 강화 결속이 각 주간 체계를 대체할것이라고 믿었다. 레온 트로츠키가 러시아의 외무부를 책임질 때 그는 그의 의향이 사람들과 이음을 강화 하기 위한 어떤 혁명의 선정포고를 발표하기 위함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볼셰비키는 그들이 주 연합 체계의 부분임을 알아냈고 그것은 그들의 행동에 영항을 미치게 되었다. 1992, 소비에트 연합은 독일과 함께 라폴로 조약에 서명했다 . 그것은 버림받은 자들의 동맹이었다. 그리고 1939, 조셉스탈린은 그의 이데올로기의 대적 아돌프 히틀러와 협정을 맺었고 서쪽 소련의 행동은 국제체계에 있는 다른 행위자들과 비슷하게 되었다.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affects states behavior. Unipolar systems tend to erode as states try to preserve their independence by balancing against the hegemon [패권국], or a rising state eventually challenges the leader. In multipolar system, states will form alliances to balance the power, but alliances will be flexible. Wars may occur, but they will be relatively limited. In bipolar systems, alliances become more rigid,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the probability of a large conflict, perhaps a global war. (examples: the Peloponnesian war when Athens and Sparta tightened their grips on their respective alliances; before 1914, when the multipolar European balance of power gradually consolidated into two strong alliance systems that lost their flexibility.)

      국제 체제의 구조는 국가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단극 체제는 국가들이 패권국에 대항하여 균형을 잡는 것으로 그들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이나 떠오르는 국가

    다극체계 에서는 국가들이 힘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연합의 형태를 하게 되나, 연합은 유연하다. 전쟁은 일어날지도 모르지만 상대적으로 한정될 것이다. 양극체제에서는 연합은  더 굳게 될 것이다, 이것은 큰 다툼의 일어나게 될 가능성을 크게 한다.(예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그들의 각각 연합을 더 단단하게 했다; 1914년 전 유럽사람들의 유연성을 잃은 두 개의 큰 힘의 연합체계로 서서히 통합되어 균형을 유지하였다) 

     

     

     

     

     

     

     

      State-level [국가수준] analysis focuses on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state or the society that influence a state's external policy. Domestic factors [국내적 요인] such as the nature of society (democratic or authoritarian societies), public opinion, national ideologies (communist or fascist ideologies), and economic needs (oil imports) inevitably affect states behavior.

     국가 수준의 분석은 국가의 국내 상황이나 국가의 외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 상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회의 기본(민주주의 or 독재주의 사회), 대중의 의견, 국가적 이데올로기(공산주의자 or 독재자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경제적 필요성(기름 수입) 같은 국내적 요인은 불가피하게 국가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To give you some examples, some theorists argue that democracies tend to be more peaceful than authoritarian regimes and that if all countries are democratic then there will be less war. Marxist theorists believe that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is the cause of war and argue that war will be abolished when all states become communist.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US under President Richard Nixon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Vietnam war in the early 1970s was the public opinion extremely hostile to the war. Japans decision to territorially expand in the 1930s was to satisfy its economic needs, i.e., energy and market.

     당신들에게 예를 주기위하여, 어떠한 이론가들은 민주주의가 독재주의 정권보다 더 평화주의적이라고 주장하고 모든국가가 민주주의라면 세상에 전쟁이 줄어들것이라고도 한다. 마르크스 이론자들은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이 전쟁의 원인이라고 믿고 있고  모든국가가 공산주의가 되면 전쟁은 사라질꺼라 주장한다. 1970년대 초에 미국의 대통령 리차드 닉슨이 베트남 전쟁에서 빠지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가 전쟁에 대해 극도로 적대적인 대중들의 의견때문이었다. 1930년대의 일본의 영토적 확장을 위한 결정을 내린이유는 에너지와 시장같은 그들의 경제적 필요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였다.

     

       

      Individual-level [개인수준] analysis focuses on individual decision making elites. This approach presupposes that individual decision makers act on behalf of their states. The traditional approach used by diplomatic historians belongs to this analysis.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concentrates on the ideologies, motivations, ideals, perceptions, values or idiosyncrasies of decision makers. Political leaders certainly make a difference in foreign policy decisions. Joseph Stalin and Mikhail Gorbachev were both Soviet leaders, but widely different in values, ideology, and attitudes. Gorbachev allowed the Soviet Union to implode at the end of 1991, but Stalin would never have allowed that to happen. G.W. Bush invaded Saddam Husseins Iraq in 2003, but Jimmy Carter would have acted differently. As you can see, political leaders often make a big difference in the countrys foreign policy decisions.

     개인수준의 분석은 개인의 결정이 엘리트를 만든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런 접근은 개인 의사결정자가 그들의 나라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한다는 것을 가정 하고 있다. 전통적인 접근법은 이 분석을 위해 외교적 사학자들에게 이용되었다. 개인 수준의 연구는 정책 결정차의 이데올로기, 동기부여, 이상, 인식, 가치, 개인의 성격 등에 집중하고 있다. 조셉 스탈린과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둘다 소비에트의 지도자였지만 크게 다른 가치관, 이데올로기와 태도를 가지고있었따. 고르바초프는  1991년 말에 소비에트 연합을 통합하는 것을 허락하였지만 스탈린은 그런 것을 절대 허락 하지 않았다. 조지 부시는 2003년에 사담후세인의 이라크를 침략하였지만 지미카터라면 다르게 행동했을 것이다. 당신들이 알 수 있듯이 정책 지도자는 종종 나라의 외교정책에 큰 차이를 만든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are mutually complementary. The argument that the wickedness of political leaders is the sole cause of all wars (an individual-level analysis) would be too simplistic and incomplete at best. We also have to consider other factors at the state- and systemic-levels to better understand and explain the causes of war.

     세 개의 분석수준은 서로 보충하는 관계가 있다는 걸 주목해야한다. 정치적 지도자의 악함이 전쟁의 유일한 원인이라는 주장(개인 수준 분석)이 맞다고하기엔 극단적으로 단순하고 불안하다. 우리는 더 나은 이해와 설명을 하기위하여 국가적, 정책적 수준에서 또 다른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교훈 2 : 국제 교류 무엇입니까?

     

     

     

    이 코스는 국제 관계 [국제 관계 입문]에 대한 소개입니다 이번 학기에 걸쳐,

    우리는 국제 관계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것입니다. 우선, 우리는, 국제

    관계의 주제를 정의해야합니다. 국제 정치, 외교 정책, 국제 관계,

    국제 정치와 밀접하게 상호 연관이 있고 아직 각각의 고유한 의미가 있습니다.

     

    외교정책은 a국가의 목표 그리고 B국가에 대한 행동들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그것은 B국가에 대한 A국가의 일방적인 행동을 내포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국의 대중국 외교정책 또는 러시아의 대일본 외교정책 등을

    말합니다.

     

    국제정치는 자주 국가들 간의 정치적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두나라 이상간의 양측의 행동을 내포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북동아시아의 국제정치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미국,러시아

    러시아, 중국, 남북한, 그리고 일본 간의 정치적 상호작용을 다룹니다.

    너에게너에게 비교를 해주자면 외교정책은 일방통행도로이고 반면에 국제정치는

    양방향 도로이다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은 둘다 국가들간의 정치적관계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국제관계는 분리된 사회의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의 모든 양식을 언급합니다

    국제관계는 비정부와 정부와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므로 국제관계는

    국제정치보다 더 포괄적입니다.

     

    국제관계의 예들로 국제법, 국제조직, 국제적 red cross, 국제 무역,운송과

    의사소통 그리고 국제관광이 있다. 국제정치는 오직 정치적 상호작용을 포함하고

    국제관계는 정치와 비정치적 상호작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p는 그들이 영향을 준 중간 정부적 관계를 제외하고 국제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없다

    탁구 정책은 중국정부가 미국과 함께 외교 골프장을 건설하는데 사용되었다.

    미국과 중국은 1949년에서 1971년까지 공식적으로 어떤 관계도 없었다.

    1971년 초, 중국 공산단원의 초대에 한 미국 탁구팀이 중국팀과 대결하기위해

    베이징으로 갔었다. 다시 탁구시합이 정치적인 이유와 정치적 결과를 위하여

    발생했다. 그러므로 이 특별한 탁구시합은 국제정치에 포함된다.하지만 중국과

    미국간의 한 이상한 탁구 시합은 정치적 연결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것은

    국제 관계에 포함된다.

     

    니가 이런 예들을 볼때마다  둘 간의 명백한 선을 긋기가 쉽지 않다.

    사실 국제관계와 국제 정치는 종종 바뀌어 사용되곤 한다.

    세계정치는 또한 국제 정치와 국제관계와 함께 유사하게 사용되곤 한다.

     

    지구정치는 지구 이슈와 문제들을 다룬다. 그리고 세계를 50억 개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한 마을로 본다. 그것은 삶의 질을 다루고 전쟁이나 경제적 질보다

    평화를 다룬다. 그것은 인구증가 공기와 해양오염 ,생태계 그리고 오존층 파괴

    등의 문제들에 초점을 둔다.

     

    게다가 우리는 더 많은 개념들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초국적 관계와 국가연구

     

    초국가적 관계는 적어도 한 사람이 한 정부 또는 한 국제정부조직의 대리인이 아닐때 국가 경계를 너머 실체적,무형의 물건의 움직임으로 정의된다.

    만약 상호작용이 비정부적 대리인을 포함한다면 그러면 우리는 이 상효작용을 초국가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직 정부만을 포함하진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비정부적 대리인은

    또한 상호작용의 한 부분이어야 한다. TR의 예들은 초국가적 의사소통,운송, 제정, 그리고 여행을 포함한다.

    NyeKoehane intl관계는 국제적 시스템에서 중심 대리인 국가들과너무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높은 정책과 함께, 힘과 영향, 그리고 국제적 협동보다는 국제적 갈등과함께, 당구공모델에 따라서

    그들은 국제적관계의 진짜 자연은 많은 상호작용의 단계에서 많은 국제적 대리인과 무수한 연합을 포함하는 국제적관계 보다는 초자연적관계라고 논쟁한다

    그들은 또한 한 거미줄 모델이 당구공 모델보다 더욱 더 국제적 상호작용을 묘사한다고 논쟁한다.

     

     

    낮은 정치 [고위 정치 대 하위 정치] 대 고등 정치

     

     

     

    지역연구는 전통적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고 한 지역의 특정 나라의 깊은 지식도 가지고있다.

    알프레드 메이여 에 따르면 지역 연구는 우리 지구의 일부분에서 찾아지는 몇몇 문화 또는 문화 그룹의 광범위한 지식을 의미한다.

    지역전문가는 역사,경제,사회적 구조, 문학, 인종학, 국가안의 구성원과 함께 가능한한 많은 지식의 혼합에 대한 지리학에 대하여 아무것도 말하지 않기 위해 그 자신에게 몰두하여야 합니다.

    한 중국 지역 전문가는 중국역사, 문화. 정치, 경제 , 그리고 언어에 대해서 연구했다. 마찬가지로 한

    라틴계 미국 전문가는 라틴계미국인 국가의 역사, 언어, 문화, 그리고 다른 것들에 대해서 정통하고 잇어야 한다.

    cold war동안 특히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지역 전문가들 특히 소련 또는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높은 요구가 있었다.

    동시에  정부와 미국의 강력한 지지와 돈을 받고 있는 많은 사적인 회사와 다르게 적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한 지역연구를 위해 아랍에서 온 테러리스트들이 미국안보를 위협했디때문에 이전의 cold war에서 아랍 전문가들은 미국에 큰 요구를 받았다

     

    LESSON 3: ANARCHY OF THE INTERNATIONAL SYSTEM
    [국제체제의 무정부상태]

     

     

     

     One thing you SHOULD remember about international politics is that it operates in an environment of anarchy[무정부상태]. What then do we mean by anarchy in this context? Anarchy has two separate meanings. First, it may mean chaos [혼란] or without order [무질서] ("war of all against all"). Second it may also mean the absence of a central government [중앙정부의 부재]. As you can see, these two definitions of anarchy are incompatible. But just remember! When we say anarchy in the international system, we mean the absence of a central government[중앙정부의 부재].

     

     

     

     The main difference between international politics and domestic (or internal) politics [국내정치] is that international politics operates in an environment of anarchy. In other words, there is no higher government [상위의정부]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 a domestic political system, the government monopolizes the legitimate use of force, but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onopoly on the use of force [무력의 독점적 행사].
    Since force is dispersed among states and there is no higher government to regulate interstate behavior, force is the ultimate means of resolving interstate conflicts.[국가간 분쟁]

     

     

     

     Try to conjure up the image of the wild, wild west in a Western movie. Law is ineffective and widely ignored. Everyone carries a gun (or two) for survival. The fastest gunfighter survives and prevails. Similarly, the only means of survival in international politics is "self help." [자구 혹은 자구책] In other words, every state must rely on its own resources to safeguard its own interests and survival. Unfortunately, the state cannot dial "911" for help every time an "evil" state invades its territory and commits all sorts of atrocities.

     

     

     

     Law does exist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it is called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law, however, is not always enforceable because international system does not have an "international police force." Just imagine what would happen if no police force is present to enforce speed limits on highways. Many people will be speeding ignoring speed limits, and highways will become quite dangerous.

     

     

     

     As you can see in the table below, the absence of central government makes international politics differ substantially from domestic politics in terms of power distribution, the legitimate use of force, law making and law enforcement mechanisms, and sense of community.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addition, you should remember two aspects about the anarchic na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First, anarchy is not the same as chaos or instability. Anarchy in international society simply means that there is no higher government that regulates states' actions and behavior. Second, anarchy is mitigated by a number of institutions such as international law, diplomacy, the balance of power [세력균형] syste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ecause of these institutions [제도], states do not go to war against each other all the time. These institutions simply mitigate the anarchic nature, but that they do not substantially alter the anarchic nature.

     

     Let me briefly talk about self-help [자구] in the international system. Earlier I mention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international police force that can enforce international law. How then are the rules of international law upheld? There are two ways: self-helf and intervention by other states. In 1990, Saddam Husseins Iraq invaded its neighboring Kuwait. The invasion was obviously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So what happened after the invasion? Kuwait first tried to resort to self-help (self-defense), but was no match for militarily superior Iraq. So Kuwait asked the US to intervene to repel Iraqs aggression. The US (under President W.H. Bush) along with a number of other states intervened to help out Kuwait. And thats how Kuwait was able to maintain its sovereignty and territorial integrity. Again there are only two ways to uphold international law: self-help and intervention by friendly states.

     

     

     

     The anarchic na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leads to security dilemma[안보 딜레마]. Since state A is on its own for protection and survival, it may take measures to strengthen its own security, such as building up its military capabilities. These measures can be perceived as a threat by its potential enemy, state B. Consequently, state B begins to enhance its own military capabilities in an attempt to counter the perceived threat. In the end, the two states' efforts to enhance their own security lead to less security for both. It is paradoxical that the efforts to improve security eventually lead to more insecurity.

     

     

     

     Why the security dilemma? Two reasons. First, it is inherently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offensive and defensive postures. Second, one state cannot guarantee that another state's present pacific (or peaceful) intentions will remain so in the future.

     

     

     

     To repeat, anarchy (absence of a central government) of the international system leads to security dilemma. Imagine yourself being in a remote town of the wild west. The law and order do not exist (or are extremely ineffective), villains abound, violence may erupt anytime, and you have to rely on your own resources for safety. Here everyone carries a gun for self-protection (or self-help). What would you do for safety? Again you have to remember: the sheriff is either dead or hiding somewhere from dangerous villains. Wouldnt you carry a gun yourself since everyone else is doing the same thing? If others see you carrying a gun, they may become suspicious of your intention and fearful of you. And they may decided to carry TWO guns, instead of one. Then you may be tempted to carry an automatic rifle in addition to the one you already have. Then others will acquire grenades, bazookas, tanks, etc. This way, the vicious cycle of arms race sets in. This is exactly what happened during the Cold War era between the two superpowers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se two rivals were engaged in incessant arms race (both in conventional and nuclear weapons) which was extremely costly and dangerous. The arms race could easily get out of control at any moment, plunging the whole world into a catastrophic, global nuclear war, which would have certainly meant the end of human civilization as we know it.

     

     

     

     Initially you begin to acquire deadly weapons to enhance safety, but arms race [군비경쟁] soon ensues, and you end up feeling less secure than before. In other words, what you do to make you feel safer leads only to insecurity. Thats why it called dilemma. If you do not arm yourself, you will feel insecure. If you do arm yourself, you will also end up feeling insecure. This is a dilemma every state existing in the anarchi internaitoal system has to confront.

     

     

     

    Here is a summary of the correlations:
    Anarchy (No central government) ?
    self-helf ?
    security dilemma ?
    arms race ?
    insecurity

     

     

     

     

     

    [3단원] 국제체제의 무정부상태

     

    국제정치에 대해 늘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은 그것이 무정부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무정부상태란 무엇을 의미할까? 무정부상태란 두가지 의미를 지닌다. 먼저, 혼란이나 무질서(곧 난전)를 의미할 수 있다. 둘째로 중앙정권의 부재를 뜻할 수 있다. 물론 무정부상태의 이 두자기 의미는 서로 상충될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할 것! 국제정치에 있어서 무정부상태란 중앙정권의 부재를 뜻한다.

     

    국제정치와 국가(혹은 국내)정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가 무정부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바꿔 말해, 국제정치체계에는 상위권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국가정치에서는 정부가 정당한 무력행사에 대한 독점권을 지니게 되지만, 국제정치에서는 무력사용의 독점이란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무력이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지만 그 나라들 사이의 관계를 통제할 상위권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무력 자체가 국가간 분쟁을 해결하는 궁극적 방법이 되는 것이다.

     

    서부극에 나올 법한 무법의 세계를 상상해 보자. 효력 없는 법이 모두에게 무시되는 세상. 누구나 살아남기 위해 총 한두개 쯤은 가지고 있으며, 가장 빠른 총잡이만이 살아남는 세상. 국제정치 또한 이와 비슷해서 한 국가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에게 의존하는 것 뿐이다. 달리 말해, 각 국가는 자신의 이득과 생존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타국에 의해 침입 당해 온갖 잔혹함을 겪게되더라도 곧장 달려와 문제를 해결해줄 구조대원 따위는 없다.  

     

    물론 국제적 차원에서도 법은 존재하며, 이것이 바로 국제법이다. 하지만 국제적 차원의 치안경찰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국제법은 늘 그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 고속도로에 속도위반을 단속하는 경찰이 없다고 상상해 보자. 많은 사람들이 제한속도를 넘어선 과속을 서슴치 않게 될 것이고 고속도로는 상당히 위험한 곳이 될 것이다.

     

    다음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제정치는 중앙정권부재로 인해 권력분포, 정당한 무력행사, 법안제정, 법안집행구조, 공동체 의식 등 다양한 면에서 국내정치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또한, 국제 정치의 무정부 상태의 자연 현상에 대해 두 측면을 기억한다. 첫째, 무정부 상태의 혼란 또는 불안정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무정부가 국제 사회에서 단순히 미국 '행동과 행동을 조절 아무 높은 정부가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둘째, 무정부 상태가 국제법, 외교, 권력 [세력 균형] 시스템의 균형, 그리고 국제기구와 같은 기관의 숫자가 완화됩니다. 이들 기관이 때문에 [제도], 미국은 서로 항상 상대로 전쟁을 할 수 없습니다. 이들 기관은 단순히 무정부 상태의 자연을 완화하지만 그들은 실질적으로 무정부 상태의 성격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내가 간단히 국제 시스템에서 "자조"[자구]에 대해 얘기합시다. 아까 내가 국제법을 시행할 수있는 국제 경찰의 폭력 같은 건 없다는 것을 언급했다. 국제법의 규칙은 그럼 어떻게 걸렸어? 자기 helf 중재를 다른 상태로 :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990 년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는 인근 쿠웨이트를 침공. 침공은 명백히 국제법을 위반했다. 그래서 침공 이후에 무슨 일이 있었지? 쿠웨이트 먼저 자기 (정당 방위) 도움말 의지하려하지만 군사적 우수한 이라크에 대한 일치했다. 쿠웨이트는 이라크의 침략을 격퇴에 개입하는 미국의 요구 그래서. 다른 주들의 번호와 함께 (부시 대통령이 뭐 아래) 미국은 쿠웨이트를 도와 개입. 그래서 쿠웨이트의 주권과 영토 무결성을 유지할 수있는 방법입니다. 친절한 상태로 자기 도움말과 개입 : 다시 국제법을 유지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국제 체제의 무정부 상태의 자연은 보안 딜레마 [안보 딜레마]로 연결됩니다. 은 보호와 생존을위한 자체에있는 상태 때문에 이러한 자사의 군사 능력을 구축으로, 자체 보안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잠재적인 적군에 의해 위협으로 인지할 수있는, 상태 B를 따라서, B는 인식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독자적인 군사 역량을 강화하기 시작합니다. 결국, 두 개의 미국 '의 노력이 모두에게 덜 보안에 자신의 보안 단서를 향상시켜줍니다. 그것은 노력이 결국 보안을 향상시키는 것을 더 불안으로 이어질 역설적입니다

     

    왜 안전이 딜레마인가? 두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본질적으로 공격과 방어의 형세 사이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둘째, 한 상태는 또다른 상태의 현재 평화로운 취지[의향,목적]가 그렇게 장차 유지될것이라는것을 보증할수 없다.

     

    반복하자면[다시말하자면], 국가시스템간의 무정부(중앙정부의 부재) 상태는 안전의 딜레마를 야기시킨다[이끌어낸다]. , 황량한서부에서 외진도시에 살아남은 당신의 모습을 상상해봐라.

     

    법과 질서는 주변의 악당들이나 폭력이 언제든지 난무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존재(또는 몹시 무모하거나)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신은 안전을 위해 당신자신의 자원들에 의지해야만 한다. 여기 모든사람들은 자가방어(또는 자조)를 위해 총울 소지한다. 안전을 위해 당신은 무엇을할것인가? 당신은 다시 상기해야한다: 보안관은 위험한 악당들로부터 죽거나 숨는다.[보안관은 쓰잘데기 없다라는 말]

     

    다른 모든이들이 그와 같은것을 하고 있는데 당신스스로 총을 소지하는게 낫지않을까? 만약 다른사람들이 당신이 총을 소지한것을 본다면, 그들은 아마 당신의태도에 대해 의심하고 두려워할지 모른다.

     

    그리고 그들은 한개 대신에[한개로는 모자잘라서] 아마 두개의 총을 지닐것을 결심하게 될것이다. 그러면 당신은 아마 당신이 벌써 지닌 한개에 더하여 자동라이플 총을 소지할 충동을 느낄지 모른다. 그럼 이번엔 다른이들은 수류탄이나, 바주카포, 탱크등을 구비할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군비경쟁의 사악한 싸이클을 고착시킨다. 이건 정확히 냉전시대 동안 두 강대국(미국과 구소련) 사이에서 발생했던 것이다.

     

    set in : 고착시키다.

     

    이들 두 라이벌은 몹시 비용이 많이들고 위험한 군비경쟁(재래식 및 핵무기 두 분야에서)을 하느라 바빴다. 그 군비경쟁은 어떤 순간이나 비극적 상황으로 전세계를 몰아넣는것, 글로벌 핵전쟁의 통제에서 쉽사리 벗어날수 있다, 그러한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것처럼 확실히 인간문화의 종말을 의미해왔다.

     

    첫머리에, 당신은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치명적인 무기들을 구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군비경쟁은 이내 계속됬고, 당신은 전보다 덜한 안전을 느끼는데 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당신은 위험에서 안전을 느끼는것은 오직 우위를 점하기위해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다. 그게 "딜레마"로 불리는 이유이다.

     

    end up : 그치다, 어떤상태에 머무르다, 처하게 되다.

     

    만약 당신이 당신스스로 무장하지 않으면, 당신은 불안함을 느낄것이다. 만약 당신이 스스로 무장을 한다면, 당신은 또한 불안함을 느끼는데서 벗어날것이다. 이것은 서로 적대해야만 하는 무정부 국가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면에서 딜레마이다.

     

    여기에 상관관계에 대한 요약이 있다: 무정부상태(중앙 정부가 없는) ? 자조 ? 안전딜레마 ? 군비경쟁? 불안전

     

     

    LESSON 7. ACTORS [행위자] 

       

    국제적 정치의 행위자의 질문에 알아봅시다. 유추를 사용하려면, 농구는 각 팀이 다섯명의 플레이어 (또는 행위자)가지고 이 선수들은 (또는 행위자) 각자 상호 작용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은 게임의 결과를 결정합니다. 누가 우리가 국제 정치라 불리는 게임의 플레이어입니까? 광범위하게 말하면 국제 정치의 행위자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가 행위자와 비국가 행위자. 이 강의에서는, 우리는 국가 행위자가 누군지 비국가행위자는 누군지 논의 할 것입니다.

       

     State Actors [국가행위자] 

       국제정치에서 중요한 행위자는 국가행위자 입니다. 국가 구성의 형태는 (1)다민족국가 (2) 민족국가 (3) 분할민족국가로 구별 될 수 있습니다.

       

       다민족국가에서는 많은 민족이 국가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20세기 초까지, 다민족국가 (대부분 다국적국가의 형태인) 국제정치의 주요 행위자가 되었다. 예를 들어 제정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터키제국, 그리고 영국제국. 예로 제정 러시아제국을 보자. 이 제국은 100개가 넘는 민족을 포함한다,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로루시인, 그루지아인, 타타르인, 우즈베키스타인, 카자흐인 기타.. 오늘날 세계는, 스위스, 벨기에, 러시아는 다민족국가이다.

     

       

       만약 한국가가 한민족으로 이루어지면, 우리는 민족국가라고 부른다. 민족국가는 하나의 뛰어난 민족성으로 구성된 국가를 말한다. 한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리고 폴란드는 단일 민족의 예이다. 민족국가 20세기에 국제정치의 주요 행위자였던 다민족국가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까지 국제정치 행위자에 민족국가는 드물었다. 민족국가는 단지 이상적인 것이었다.

       

       민족국가 형태의 두 가지 다른 길이있다. 유럽에서 민족주의는 일반적으로 국가형성에 선행되었다. 제정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제국의 다민족국가의 소수민족은  처음으로 민족주의가 발전했고 민족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자립정신을 얻었다. 이런 경향에 국가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은 힘을 얻었다. 세계1차대전의 발생과 함께 민족자결주의 원칙은 효과적인 진보를 만들었다. 1918 18일 미국국회 전에 민족자결주의 원칙을 포함해 윌슨의 정의로운 평화의 14개조항이 제안되었다. 1 차 세계 대전 도중, 민족자결주의 원리는 널리 퍼졌고 다민족제국 (재정 러시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및 오토만 제국)은 붕괴됬다.세계 1차대전 후에, 유럽에 있는 여러 국가는 독립을 얻었다. 예를 들면,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및 아라비아인과 같은 비 터키 국가를 포함한 오스만 제국이다 .이 국가들은 수년간 터키 규칙의 밑에 살면서 민족주의를 발전했고 오토만 제국에서 독립적이 되기 시작한 후에그들 자신의 국가를 형성했다. 민족주의와 민족의식은 새로운 국가의 창조에 우선시 됐다. 한마디로 말하면, 유럽에서, 민족주의와 민족의식은 새로운 국가의 창조에 우선시 됐다. 

       

      비유럽 세계에서는, 국가 형성의 과정은 다른 경로를 따라갔다. 비유럽 에서는, 민족주의,민족의식 발달보다 국가의 창조가 먼저 됐다. 19 세기에 서쪽 제국들은 민족성, 언어 및 종교에 상관없이 경계를 만들어 특히 아프리카에서 국가를 창조했다. 3세계에 있는 새로운 국가는 종종 인공적인 식민지의 창조이었다. 대부분의 이런 국가들은 민족주의가 강하게  발전하기 전에, 식민주의에 의해  창조되었다. 이런 국가들은 몇몇의 인종을 포함한다. 이 국가들은 인종의 중유함에 대해 지배그룹 또는 탈식민국가와 더불어 강하게 확인하지 않는다 감에서 약하다. 이 역사적 유산 결과로, 3 세계 국가의 많은 것은 국가 건설(민족의식)로 아직도 고군분투하고 있다. 루완다는 좋은 본보기이다.

       

      분할민족국가 에서는, 단일 국가는 나뉘고 2개 또는 그이상으로 이상 분리되어 형성된 국가말한다. 이 종류의 밑에 한국, 중국 및 독일 가을.  한반도에 여전히 2개의 한국이 공존한다. 중국과 대만은 둘다 중국 국가이고, 그들의 통합은 아직도 핫이슈로 남아 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또한 분할민족국가의 예이다.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동일한 언어 및 문화 유산을 공유하는 동일한 민족이다.  

    비국가행위자

       비국가행위자는 (1) 운동 (또는 영토의 비국가행위자), (2) 국제적정부간조직, and (3) 국제적비정부간조직 3가지의 형태이다.

     

     Movements[운동]:

    민족해방운동 및 분리주의운동은 운동의 보기이다. 그들은 또한 국가를 창조하기 것을 갈망하기 때문에 영토의 비국가행위자로 불린다. PLO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는 민족 해방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몇명의 정부와 외교 관계를 가지고 UN국가의 관찰하고 군병력을 지휘한다. PLO는 국가가 아니더라도, 국제 정치의 행위자다. 분리주의운동 그룹은 국가 (또는 조합)에서 물러나고 분리되는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IRA (아일랜드 공화국 육군)는 영국으로부터 북아일랜드를 분리시키고 일랜드로 결합하기 위해 싸운다. 체첸족은 투쟁하여 러시아에서 탈퇴하고 그들의 자신의 국가를 건설하기를 갈망한다. 퀘백의 프랑스어로 말하는 거주자, 캐나다의 지방은, 캐나다에서 탈퇴하고 indedendent 국가를 창조하는 것을 노력한다. 동부쪽 터어키, 북동 이라크, 서북 이란 및 북동 시리아 및 아르메니아의 더 작은 단면도를 거주하는, Kurds는 또한 독립 국가를 탈퇴하고 형성하는 것을 갈망한다. 

     

    퀘백의 프랑스어를 쓰는 거주자들, 캐나다의 지방은, 캐나다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국가를 창조하는 것을 노력한다. 동부 터키, 북동 이라크, 서북 이란 및 북동 시리아 및 아르메니아의 더 작은 지역에 거주하는 Kurds 또한 탈퇴하고 독립 국가를 형성하는 것을 갈망한다.

     

       영토회복주의는 분실된 영토를 되찾는 운동 이다. 알바니아는 코소보를 되찾는 것을 노력하고, 루마니아는 Moldova와 결합하길 원한다.

     

     IGOs (International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국제적정부간조직] 

    NATO, UN, EU 같은 국제적정부간조직은 또한 국제정치에서 활동적인 역할을 한다. 그들의 일원은 국가정부들이다. IGOs는 때때로 국제정치에서 독립적인 행위자로 행동한다. 예를 들면, EU는 하나의 정치상 행위자로 하나의 외부 관세 및 여러 번 매매가 있다. 대부분의 IGOs는 그들의 일원에 대한 관심사를 반영한다, 그러나 때때로 유럽 공동체 정책의 대화, 국제 연합의 활동, 또는 NATO의 반응을 반영한다.

     

     NGOs (or INGOs)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국제적비정부간조직] 

       NGOs는 개인적인 (정부가 아닌) 조직이고 그들의 회원은 개인조직과 개인으로 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가지의 유형의  NGOs가 있다: (1) 영리를 추구하는 NGOs (2) 비영리를 추구하는 NGOs.

     

     Profit-seekig NGOs [영리추구 NGOs] 

     MNCs (다국적 기업)은 영리를 추구하는 NGOs에 속한다. MNCs는 이윤을 남기고 시장을 확장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국제정치에 있는 행위자로서 MNCs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물리적이고 및 금융 자산에 있는 그들의 크기에 의하여, MNCs는 현대 글로벌 시스템에 거대한 영향력이 있다. IBM, 제네럴 모터스, 영국제 석유 및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가장 큰 MNCs의 자산은 작은국가의 경제능력을 한참 앞지른다. IBM, 제네럴 모터스 및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가장 큰 MNCs는 그들의 거대한 자산(물리적,금전적)을 사용해서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MNCs는 때때로 자국의 국내 정책에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아테말라에 있는 The United Fruit Company (UFC) 활동은 좋은 예이다. 1952년에 구아테말라에 Arbenz에 의해 지도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회사의 경제적 이권에 적대할 정책을 추구할 때 UFC 및 미국 정부는 Arbenz 정권의 타도에 연루되게 되었다. 유사하게,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ITT) 1970년대 초에 있는 칠레에 있는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아옌데 정부가 쓰러지고 있을 때 미국 정부를 원조했다.

     

       

     Non profit-seeking NGOs [비영리 NGOs]

     

      국제 적십자, 환경 보호 운동, Amnest International 그리고 로마 카톨릭 교회는 비영리 NGOs의 대표적인 예 이다. 천주교 교회는 바티칸 시티에 본부를 두고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에서 활동한다. 로마 교황은 경제 발전, 무기 감독 및 정치적인 정권의 특징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적 이슈에 공고(announcements)를 만들었다. 이러한 공고는 외국 정책 입안자의 전망에 영향을 주고 그 영향은 직접적 일 것이다. Ban Landmines운동 (NGO)은 모든 대인 지뢰를 금지한 1997 12월의 오타와 지역 금지 조약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일반적인 비국가 행위자들은 국제정치에 있는 몇몇 역할을 할 수 있다: (1) 국제적인 외교 예정표에 문제점을 소개한다 (2) 특정 세계 또는 지역 문제에 대하여 시민 의식을 선전하고 올린다 (3) 그것은 국가정부 및 국제조직에 그들의 문제를 위해 우호적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로비 활동을 한다. 결정을 그들 원인에 호의를 베푸는 내리기 위하여 조직 로비 운동할지도 모른다 (4) 때때로 위협 또는 힘의 사용을 포함하는 직접 행동을 통해 결과를 찾을 수도 있다

     

       

       Who are more important actors in international politics? State actors or non-state actors? The nation-states remain the most important actors of international politics. Non-state actors have an impact on international politics, but the impact can be made only with the consent of governments. To put it differently, the nation-states are primary actors and the non-state actors are secondary actors.

     

       

       The nation-state remains the critical actors of international politics because (1) it commands the allegiance of peoples occupying a defined territory; (2) it possesses the capabilities to employ the ultimate threat (or war); (3) governemnts are concerned with the full range of welfare and security issues of a population; and (4) governments enjoy sovereignty. All other types of actors exist and operate only with the consent of governments.

     

     

     

     

     

     

     

     

     

     

     

     

     

     

     

     

     

     

     

     

     

     

     

     

     

     

     

    LESSON 8: VIDEO (CIA in Guatemala) & DISCUSSION

     

    국제정치의 행위자에는 크게 (a) 국가행위자와 (b)-국가행위자로 나뉘어진다. Lesson 8의 비디오는 비국가행위자가 (다국적기업) 때로는 국제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 비디오에서 UFC는 비국가행위자로써 (다국적기업) 1952년 과테말라의 아르벤즈 정권을 무너뜨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당시 과테말라에 사회주의 성향을 띄는 아르벤즈 정권이 들어섰다. 이 정권은 외국기업이 소유하는 농장을 강제로 국유화하였다. 미국의 다국적기업인 농작물 생산업체인 UFC는 경제적 손해를 보게 되었고 미국 CIA에 접촉하여 아르벤즈 정권을 무너뜨릴 것을 요구하였다. 그 결과 CIA는 비밀공작을 실행하였다. CIA 요원은 마치 반-아르벤즈 반군이 대대적으로 봉기하고 수도로 진입하는 것 처럼 조작하여 아르벤즈 정권을 무너뜨리는데 성공하였다.

     

    질문:

    (1) 과테말라에서의 CIA의 전복활동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

     

    (2) 21세기에 비국가행위자 (다국적 기업, NGO 등등)가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는가 혹은 감소하고 있는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요.

     

     

     [ 비디오 한글 요약 ]

     

    이 비디오 클립은 미 중앙정보국 (CIA)의 시작과 그 발달에 관한 비디오 클립이다. CIA는 지난 50 여년간 냉전기 동안 소련제국에 대항하는 미국의 선봉에 있었다. 비밀은 그들의 방패였으며, 비밀공작과 간첩활동이 그들의 무기였다. 1997년 미국의 비밀용사들 CIA요원들이 음지에서 나와 냉전 속에서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CIA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냉전이 끝난 이후, 새로운 국제 질서, 테러와의 전쟁, 전세계화된 범죄와 마약들에 대해서 대처해야 한다. 과거의 경험이 새로운 CIA의 역할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996 5, 1970년대 CIA국장이었던 William Colby의 시체가 Maryland 남동부의 강둑에서 발견된다. 그는 냉전시기에 국가를 위해서 스파이로 일한 사람이었다. 그의 장례식에는 수많은 CIA 요원들이 형제애를 과시하였다.

    이 비밀의 용사들에게는 전세계가 전쟁터이다. CIA에서 실제 필드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들이 DO이다. DO는 대통령의 마지막 보험이며, 어느 당이 정권을 잡던지 대통령을 위해서 일을 하였다. 만약에 DO가 없었더라면 CIA는 랜드 연구소와 같은 곳이 되었을 것이다. 냉전시기동안 CIA 9명의 대통령을 위해 활동하였다. 오늘날 그들의 유산은 점차 사라져가지만, 초창기에 CIA 요원들은 미국에서 가장 똑똑한 최고의 인재들이었다.

    진주만 습격은 미국이 예측가능한 것이었으나, 각 정보들을 모아서 결론을 내는데 실패한 미국은 OSS를 창설한다. 이를 제안한 William Wild Bill Donovon은 미국의 정보공작 시스템을 한 울타리로 모으려고 하였다.

    그는 최고의 인재들을 모으기 위해서 노력하였고, 그들은 워싱턴에 모였다. 예일대학에서 수 많은 OSS 장교들이 배출되었다. 선임 연구원의 경우, 700명의 졸업생 중 90명이 OSS에서 일을 하였다. 이처럼 수 많은 아이비리그 출신의 인재들이 OSS에 모였고, 그들만의 문화, 문화를 만들게 된다.

    세계 2차세계 대전이후, OSS는 방치된다. 하지만, 스탈린의 붉은 군대가 동유럽을 점령하고 소련 제국이 자본주의 세계를 겨냥한다. 새로운 전체주의가 등장한 것이다. 과거의 적은 공산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자유 세계를 지키기위한 새로운 친구가 되었다. Rinhert Gaylen 장군은 과거 나치를 미 정보국요원들로 고용하여, 철의 장막 뒤에서 벌어지는 일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국가 안보가 가장 위선시 되었고, 1847 Harry Truman CIA를 창설하는 법안을 서명한다. 이후 CIA는 비밀공작을 아무도 모르게 시행하였으며, 만약 알려진다고 하더라도 대통령을 이를 몰랐다고 할 수 있는 독트린이 만들어졌다. 이를 plausible deniability라고 한다. Eisenhower가 대통령이 된 이후, John Foster Dulles는 국무부 장관에 임명되고 Allen Dulles는 공작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한다. 약 한달 뒤 Eisenhower-Dulles 비밀공작이 시작된다. 이란의 국무총리가 영국과 미국의 오일회사를 국유화 하려하자, 친미파인 Shah가 권력을 갖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1년 후 CIA는 과테말라에서 바나나 농장을 국유화 하려는 좌파정권에 대해서 비밀 공작을 펼친다.

    LESSON 9. THEORERICAL APPROACHES [이론적 접근방법] 

       

      사회과학자 및 사학자는 그들의 분석에 다른 접근방법이 있다. 사학자는 특정한 사실 및 세부사항에 주로 관심을 가진다. 정치학자는 일정한 행동 패턴을 발견하고 변수의 형태로 이들을 설명하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국제적인 정치과학자들이 전쟁의 원인 그리고 본질에 대한 설명에서 군비지출수준과 전쟁발발의 사이 관계를 수립하는 것을 시도한다. 군비 지출의 증가가 (독립변수) 전쟁 발발 가능성을 높이나요?(종속변수). 이것은 국제적인 정치학자가 답을 구하기 위해 시도하는 질문의 유형이다.

     

       

       물리학 같은 자연과학에서는, 변수들 사이 관계는 명확하다, 그리고 묘사하고,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우리는 온도(독립변수)가 섭씨 100도에 도달할 때, (종속변수) 끓는 것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 과학에서는 변수들 사이 관계는 너무 많은 변수들이 있고 항상 예측할 수 없는 인적 요소가 있기 때문에 수립하기 매우 어렵다. (미국과 캐나다 관계에서의 높은 군비지출의 효력은 미국과 중국 관계에서의 그것과 다를 것이다.)

     

       

       사회 과학에 있는 대부분의 이론들은 분석의 틀(conceptual frameworks)의 단계에 머무른다. 예를 들면 주문의 세트가 고안한 대로, K.J. Holsti는 분석의 틀을 조사관 및 학생들이 국제 관계에 있는 자료와 사건의 중대한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리도구 또는 접근방법이라고 정의했다. (Holsti' s는 정부의 목적으로 국제적인 장치주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해거나 옹호하기 위해 일하고 충돌과 협력이 나타나는 국가 사이 상호 작용의 형태 그리고 유형을 의미한다.)

     

       

       분석의 틀은 장치주문, 모형, 또는 이론과 함께 교환 가능하게 이용된다. 분석의 틀은 지적인 프리즘과 같다. 분석의 틀에 의존하는 것은 사용을 위해 당신이 선택하는 것이다, 당신의 관점은 국제정치의 특정한 양상에 집중할 것이다. 어떤 의미로는, 분석의 틀은 한 쌍의 색안경 같다. 당신이 한 쌍의 파란 색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 당신의 시야는 파랑색으로 칠해질 것이다. 당신이 한 쌍의 갈색 색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 당신의 시야 갈색으로 칠해질 것이다.

     

    Scientific Theory v. Traditional Theory [과학적 이론 대 전통적인 이론]

    국제 관계에서 행태주의자들은 자연과학에 있는 이론의 유형과 평행하고 현상을 묘사하고, 설명하고, 예언하기 가능한 과학 이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이 학자들은 경제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생물학 및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 개념, 통찰력 및 방법을 빌린다. 그들은 또한 준엄한 연구 방법론 (수학적 모형, 통계적인 도구 등등)을 빌리고 연구에서 계량화하여 사용한다. 그들은 그들의 이론적인 접근에 있는 실험적인 관측, 통계적인 기술 및 논리를 강조한다. 그들은 국제 관계 속에서 예언하는 이론들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다. 국제 관계에서 예언하는 이론은 아직 달성된 것이 없다. 실제로, 국제 관계에서 인간 행동의 예측할 수 없는 본질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무수한 변수 때문에 전망은 아주 밝지 않다

     

     

       

     대조적으로, "전통주의자"" 과학에 의해 발견된 예언하는 이론에 반대로 "지혜로운 관점(wisdom outlook)"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학문의 주요 주제는 외교적인 역사다. 전통주의자는 현상 사이 품질의 차이점에 집중하고 행태주의자의 양적인 방법의 지나친 강박관념에 반대된다. 전통주의자는 과학적인 방법은 종종 현실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에 의해 역사에 있는 각 사건과 상황은 별개의 그리고 유일한 현상, 추상적 개념 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의 방법론은 크게 역사 기술적이고, 그들의 오리엔테이션은 실험 보다는 오히려 규범적이다.

     

        국제 관계의 학문은 이러한 두 종류 사고 체계 사이에서 분할된다 (행태주의자와 전통주의자). 그들 사이 끊임없는 토론은 아직도 계속한다.

     

       

     Realism vs. Liberalism (Idealism) [현실주의 대 자유주의 (이상주의)] 

     

      먼저 우리는 국제 관계에 있는 이론 또는 개념적인 기구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국제적인 정치의 각종 이론 사이에서, 우리는 실재론과 자유주의에 집중할 것이다.

     

    국제적인 정치에서 실재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로, 정치적인 현실주의자는 인간성의 비관적인 의견을 가진다. 남자는 선천적인 악하고, 나쁘고, 힘을 원하고, 불완전하게 전망된다. 세계는 인간성에서 내재된 힘의 결과이다. 세계 체계가 인간의 노력에 의해 바뀔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은 대항하지 말고 세계 체계의 그 힘와 어울려야 한다. 국가는 "절대적인 좋은 것 보다는 오히려 약간의 악을 찾아야 한다. 둘째로, 실재론은 힘이 국제적인 정치에서 중대한 결정 요인이라고 가정한다. 현실주의자는 힘의 본질 그리고 요소에 집중한다. 구속력을 가진 중앙 정부가 없을 경우에, 현실주의자는 힘의 균형을 통해서 평화와 안정성을 보존하려고 한다. 셋째로, 현실주의자는 국가를 국제 관계에서 주요한 행위자로 생각하고 이러한 단체에 초점을 둔다. 다국적 기업 및 다른 초국가적 조직과 같은 비국가 행위자는 덜 중요하다. 현실주의자들의 학문의 초점은 국가와 각 주 간 (또는 국제) 관계에 있다. 네 번째, 국가는 합리적으로 행동한다.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사 결정자가 가장 좋은 가능성 결정을 성취하려 노력한다. 다섯 번 째, 군과 정치 쟁점은 예정표를 지배한다. 국가는 그들의 국익을 확대하고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힘을 사용한다.

     

       

       자유주의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 다른 이름들로 불린다. 우리의 목적을 위해, 그것은 공상적 이상주의 또는 이상주의와 비슷하게 여겨질 것이다. 첫째로, 자유주의는 인간을 낙관적인 전망한다. 그것은 인간성을 근본적으로 좋고 변하기 쉽다고 전망하고, 교육, 개혁, 남자 산재하는 힘의 사용을 통해 그의 완성 단계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자유주의자들에게 국제적인 체계는 국제 기관 및 국제법을 통해 바뀔 수 있다. 둘째로, 자유주의는 국제적인 평화가 세계 여론 및 국제 기관에 의해 인도된 국익의 자연적인 조화에 의해 보존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셋째로, 자유주의는 도덕 적이고, 법률을 존중한다, 18 세기 계몽 낙천주의, 19 세기 자유주의 및 20 세기 윌슨 주의 이상주의에게 지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다. 넷 째, 도덕적인 규범이 국가 외교정책의 행동을 바꿀 다는 것을 주장한다. 다섯 번 째, 자유주의 이론은 과감하게  현재 국제적인 체계를 바람직한 것으로 변형시키려고 지지한다. 이 부분에서는, 그것은 현재의 국제적 체계로 최상으로 만들기위해 노력하는 현실주의 이론을 가진 계약에 있다.

     

     

     

    현실주의

    자유주의(이상주의)

    (or Idealism, Utopianism)

    현실주의 와 자유주의(이상주의)

    (or Idealism, Utopianism) 

    Dominant period

    [유행했던

    시기]

    1940년대부터 1960년대 중반

    1-2차 세계 대전시기;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Basis

    [근간]

    18세기, 19세기 유럽의 고전 힘의 균형 시대

    18세기 계몽사상; 19세기 자유주의; 20세기 윌슨의 이상주의

    View of human nature

    [인간성에 대한 시각]

    인간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 악함, 힘을 추구; 선천적으로 악하거나 불완전함

    인간성에 대한 낙관적 시각; 향상가능, 완전함

    International system

    [국제체제에 관한 시각]

    국제체제는 불변하는 많은 요소로 구성됨(지리학, 인간성, 기타); 세계는 인간성의 결과

    민족국가는 국제법이나 국제기관에 의해 변화가능; 세상은 교육, 개혁, 산발적인 힘의 사용으로 변화 할 수 있다.

    Actors in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정치의 행위자]

    국가 행위자

    비국가 행위자

    Approach to international politics[국제정치에 대한 접근방법]

    국가의 힘과 이익에 강조; 국제정치는 힘겨루기; 힘은 궁극적인 권위; 국익을 위한 대립

    도덕적-준법적 접근; 도덕적 모범의 실현; 국익을 위한 조화

    Best means for achieving peace

    [평화를 이루기 위한 최선의 수단]

    힘의 균형

    국제법; 국제기관; 세계정부

     

     

    Writers in the Realist Tradition [현실주의 전통에 속하는 저자들] 

       중요한 저자들에 초점을 맞춘 국제적 관계의 현실주의 전통을 자세히 소개하겠다.

     

       

     Thucydides (author of The Pelloponnesian War, 431 B.C.)

       Thucydides는 국제 관계 규율의 창시자로 신망받는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군과 정치 세력을 위한 투쟁에 대한 학문이다. 아래는 책에서 발췌한 것들이다.

     

       

     

    전쟁을 불가피 하게 만드는 것은 스파르타에서 발생한 아테네 사람들의 힘과 두려의 성장이다

     

       

       "비록 공포가 전쟁으로 이끌어 낼지도 모르나, 상대적인 힘과 능력은 다른 사람의 결과를 결정한다 ."

     

     

     

     

     

     

    ... 강함은 그들이 무언가를 할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약함은 그들이 받아들여야할 무었가를 말한다.

     

       

    ..만약 누군가 자신의 개인 이익을 위하면 안전하기를 바라는 것이고 반면 정의와 명예를 추구하는 길은 위험이 따른다.   

     

     

     Niccolo Machiavelli (author of The Prince, 1513)

       Michiavelli 16 세기에 그의 정치적인 훈련에 근거를 둔 정치 이론을 개발했다. 그의 이론은 국제 관계에서 현대 정치적인 실재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힘은 마키아벨리의 중요한 관심사이었다. 그는 충돌적인 정치의 본질을 추측하고 인간성의 비관적인 견해를 가졌다. 마키아벨리에게 국가의 생존은(identified with the ruling prince)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었다. 국가의 안전은 다른 개인에게는 금지되는 황태자에 의한 특정 행위를 정당화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Machiavelli의 견해는 만약 그들이 착할 수 있다면 좋지만 필요하다면  기꺼이 악함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통치자로서 그의 의무).

     

       "선량하지 않은 사람이 많기 때문에, 모든 행동에서 친절을 행하고 난뒤 노력하는 사람은 반드시 몰락하게 된다 "

       

    " (남자) 은혜를 모른다, 변덕스럽다, 가식적이다, 위험에서 달아나는 것을 염려한다, 이익을 탐한다.;

     

    신중은 위험의 정도와 최소의 위험을 선택하는 법 사이를 구별할 줄 아는 것이다.

    신중은   

       

     Tomas Hobbes (author of The Leviathan, 1660 ) 

      Hobbes, 마키아벨리 처럼 인간의 행동에서 중대한 것은 힘이라고 생각했다. Leviathan에서 몇몇 발췌가 여기 있다: 남자는 "죽기 전까지 힘에 대한 끊임없는 활동적인 욕망이 있다; 국가의 본질에서 세계는 모두가 모두에게 대항하는 전쟁의 상태일 것입니다; 강한 지도자 없이는, 혼돈과 폭력이 따른다. 그의 주장에서는, 힘을 다르고 대립을 막는 강한 기관이 필요하다, 그는 힘의 균형 보다는 세계 정부 또는 세계 제국을 제시했다. Hobbes  힘의 균형을 무질서한 국가의 본질로 간주했다.

     

     Hans J. Morgenthau (author of Politics Among Nations, 1949) 

    2 차 세계 대전 후에, Hans J. morgenthau는 체계적인 이론에서 그것을 구현해 실재론의 위치를 강화했다. 그의 현실주의 이론은 18~19세기 유럽의 고전 힘의 균형 시대로부터 그것의 체제를 갖췄다. Morgenthau는 인간성에 비관적인 태도를 가진다.

     

    남자는 선천적으로 악하고, 나쁘고, 힘을 추구하고 불완전하다고 보아왔다. 세계는 인간성에서 내재된 힘의 결과이다. 민족 국가는 "절대적으로 좋은 것 보다 약간의 악함"을 가져야한다. 세계 체계에서, Morgenthau "세력균형을 이용해 평화와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추구한다.; " (i.e, 단 하나 국가에 의한 패권을 방지해서.)   

     

       

      Morgenthau는 국가의 외교정책을 위한 국제적인 정치 및 절대적인 표준에서 마지막 단어로 국가이익을 주장한다. 정치 행위가 국가의 국익에 공헌하기 때문에, 그것은 국가 생존의 가장 큰 도덕적 원리로 여겨진다

     

       

      Morgenthau의 관점에서, 국내 및 국제 정치는 3가지의 기본적인 유형의 나타낼 수 있다: 정치 정책은, 각각 권력유지을 유지하는 것, 권력을 강화하는 것, 관력을 과시하는 것 3가지다. 국가는 현재상태를 보존하거나, 제국주의 확장을 성취하거나, 명성을 얻기 위하여 계획된 정책을 따른다.

     

     

     

     

     

     

     

     

     

     

     

     

     

     

     

    Lesson 10. THE BALANCE OF POWER SYSTEM, 1648-1914 (1/2)

     

    Readings: Mingst, 25-34.

     

     

     

     Beginning with this lesson, we will deal with historical international systems. Historically, major powers (강대국) have sought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international scene by utilizing one of the following three peace systems: the balance of power system (세력균형체제); the collective security system (집단안보체제); and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공포균형체제). In this section of the course we will look into the three peace systems. Lessons 10 and 11 will examine the balance of power system that controlled and regulated inter-state relations of the modern states system (현재국가체제) from 1648 to 1914. The Treaty of Westphalia (웨스트팔리아 조약) (1648) was a watersh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y because it laid the ground rules for inter-state interactions such as state sovereignty (국가주권), diplomatic intercourse (외교교류), and the balance of power. The balance of power system, which was reconfirmed in the Treaty of Utrecht (유트레히트 조약)(1713), was the key to peace and stability in Europe during this period.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deas of nationalism and people's sovereignty associated with it posed a serious challenge to the dynastic state system (왕조국가체제) (as well as to peace and stability) and eventually replaced it with a nation-states system.

    우리는 역사적인 국제 시스템에 대해 다룰 것이다. 역사적으로 주요강대국들은 평화와 안정을 유지시키기 위해 세 개의 평화 시스템 중 하나를 이용하였다. 세 개의 시스템은 the balance of power system(세력군형체제) the collective security system(집단안보체제) 그리고 the balance of terror system(공포균형체제) 이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러한 세 개의 시스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Lesson 10 11 은 세력균형체제 즉 1648에서 1914년 까지 modern states system(현재국가체제) 의 상호 국가 관계에서 통제되고 규제된 세력균형체제에 대해 조사할 것이다. 국제 관계 역사에서 The treaty of Westphalia (웨스트 팔리아 조약)(1648) 은 분수령이 되었다. 왜냐하면 이것은 state sovereignty(국가주권), diplomatic intercourse(외교교류), 그리고 세력균형과 같은 상호 국가 관계에 대해 기본원칙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력균형체제는 Treaty of utrecht(유트레히트 조약)(1713)에서 재확인 되었다. 이는 유럽의 평화와 안정성에 대해 중요한 키가 되었다. The French Revolution 프랑스혁명 그리고 민족주의의 개념 그리고 국민의 주권은 연관되어져있는데 이는 평화와 안정성 뿐만 아니라 dynastic state system(왕조국가체제) 에 대해 중대한 도전으로 제기했다. 그리고 마침내 nation-states system 과 대체되었다.

     

     

     

    Lesson Objectives

     

     After completing this lesson, you will be able to
    *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Treaty of Westphalia (1648) and the Treaty of Utrecht (1713);
    * recognize the "rules of the game" in international politics from the fif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rules which revolved around the notions of state sovereignty and balance of power;
    * become familiar with the impact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Napoleon upon the creation of nation-states system 의 창조위에

    학습목표

    베스트팔렌과 위트레흐트조약의 의미를 이해한다.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국제적인 정치에서 이루어진 rules of the game",게임의 규칙을 인식한다. 이러한 규칙은 국가 주권 그리고 세력균형의 개념에 대해 기초적으로 연관되어져 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nation-states system 의 창조인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의 영향에 관해 친숙해 질것이다.

     

     

     

     

    LECTURE NOTES

     

     

     

    A. The Treaty of Westphalia an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tates System

     

     

     

     A. The Treaty of Westphalia an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tates System
    The modern states system in Europe emerged from the Treaty of Westphalia (1648), which terminated the Thirty Years' War (30년전쟁). It was a totally new international system, different, in many important ways, from the preceding feudal system. The nature of the units (구성단위) and their common forms of interaction prior to and after the Thirty Years' War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The essential rules of the system were developed and articulated in the Treaty of Westphalia.

    A. 베스트팔렌조약 과 현재 국가 체제의 출현

     

    현재 국가 체제는 유럽의 30년 전쟁을 종결시키게 되는 Treaty of Westphalia (베스트팔렌조약)에서 나타났다. 이것은 feudal ststem(봉건체제, 세력이 있는 소수 특권 계급이 중앙정부와의 통제에서 벗어나 백성과 토지를 사는 체제)와는 새롭고 다른 국제 체제로써 많은 중요한 방법을 가지고 있다. the units(구성단위) 30년 전쟁 후 그리고 그전에 있어서 상호작용의 그들의 공통적인 형태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베스트팔렌 조약이 이루어지면서 필수적인 체제에 대한 규칙이 발전되었고 그리고 분명해 졌다

     

     

     

     The Treaty of Westphalia laid out a number of rules of the game (or institutions) [게임의 규칙 혹은 제도] for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formed the basis of the modern states system. First, it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state sovereignty, which implied the principles of noninterference and legal equality of states.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every state regardless of its size or cap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legally equal and should have the right to make its own decisions. Second, the system of a professional diplomatic corps [직업외교단] was established. Diplomatic immunities [외교면책] were the underlying principle that made the new system of exchanging professional diplomats possible. Third, war in the eighteenth century was highly institutionalized [제도화], and was recognized as a legitimate instrument to promote and protect states interests. In the period of 1648-1814, systemic stability (maintenance of the formal and informal rules of the game) was maintained, and dynastic political orders (as opposed to feudal orders) based on sovereign independence of states were sustained.

    베스트 팔렌의 조약에는 현재 국가 체제의 기본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는 국제관계를 위한 게임의 규칙 혹은 제도가 놓여져있다. 첫 번째로 그것은 불간섭의 원리 그리고 국가에서의 제도적 평등에 대한 원리가 포함되어 있는 국가 주권의 원칙을 내세웠다. 이러한 원칙들은 모든 국가는 크기나 수용력에 관계없이 제도적으로 평등해야 하고 그리고 자신의 주장을 말할 수 있는 권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a professional diplomatic corps (전문적인 직업외교단)의 체제가 구축되었다. Diplomatic immunities(외교면책) 은 가능한 전문적인 외교 정책의 새로운 교환체제의 원리에 기초 두고 있다. 세 번째로 18세기의 전쟁은 고도의 제도화가 되고 국가의 관심에 대한 보호와 법적인 장치로써 인식되었다. 1648-1814 이 기간에서는 안정체계(형식의 유지 그리고 게임의 비공식적인 규칙)가 유지되었고 봉건적인 제도와는 반대인 독립주권에 기초를 둔 왕조체계의 순위가 유지되었다.

     

     

     

     The European system was divided into a number of dynastic states and lesser entities, but there was a sense of European cultural unity. Christianity united the Europeans and set them apart from the Ottoman "heathens" and the "barbarians" in non-European lands. France was at the center of the European political system: French was the common language among aristocrats and France set the cultural standards for Europe. The concept of nationality (nationalism) was not yet fully developed. Political loyalties were personal rather than national. The European continent was culturally and religiously united, but politically divided. The period from 1648 to 1814 was stable in the sense that the inter-dynastic politics retained their essential

    유럽의 체제는 봉건국가와 작은 존재로써 나누어져 있었다. 그러나 유럽의 문화적인 통합이 있었다. 기독교로 연합되어진 유럽과 그리고 비유럽 땅에서 그들과 따로 떨어진 오스만제국은 야만인과 이방인으로 놓았다. 프랑스는 유럽의 정치 체제에 있어서 중심이 되었고 프랑스어는 귀족들 사이에서 공통되는 언어였고 유럽에서의 문화적인 기준이 되었다. 민족주의의 개념은 아직 완전히 발전되지 않았다. 정치적 충성은 국가적이기 보다는 개인적이었다. 유럽대륙은 문화적으로 그리고 종교적으로 연합되었지만 정치적으로는 분리되었다. 1648 - 1814 에서는 그들이 근본적으로 보유하는 국가 왕조 체제는 안정화었다.

     

     

     

    Earlier we talked about the notion of state sovereignty. Since the concept of
    state sovereignty is central to the modern states system, I will repeat a few important features of sovereignty. The modern conception of sovereignty was first formula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with reference to the new phenomenon of the territorial state. By the end of the Thirty Years War (1648), state sovereignty as supreme legal power over a certain territory has become widely accepted. It meant the victory of the territorial princes [영토적 군주] over the universal authority [보편적 권위] of emperor and pope, on the one hand, and over the particularistic aspirations of the feudal barons, on the other. Thereafter the monarch was the sole source of man-made law--that is, of all positive law [실정법]. Sovereignty is supreme law-making and law-enforcing authority within a territory and, in consequence, implies independence from the authority of any other nation and equality with it under international law.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states are equal only in the legal sense. This legal equality is well manifested in the principle of "one state, one vote" in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이전에 우리는 국가 주권의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 하였다. 국가주권의 개념은 현재국가체제의 중심이기 때문에 주권의 몇가지 중요한 특징에 대해 반복할 것이다. 현재의 주권의 개념은 16세기 후반 영토국가의 새로운 현상의 언급과 함께 처음으로 말했었다. 30년 전쟁 후, 한 영토위에서의 최고 법적 권력인 국가 주권은 넓게 수용되었다. 이것은 territorial princes(영토적 군주)의 황제나 교황의 universal authority(보편적권위) 그리고 다른한편으로는 봉건귀족의 개개인의 욕망 위에서의 승리로 의미될 수 있다. 그 후 군주는 사람이 만든 대한 법인 all positive law(실정법)의 근원이 되었다. 주권은 영토안에서 법을 만들고 법률을 시행할 수 있는 최고 권력이고 결과적으로 국제적인 법아래 평등하고 어떤 다른 나라의 권위로부터 독립이 되었다는 것을 내포한다. 우리는 국가는 오직 법률적인 의미 평등하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이 법적인 평등은 국제 논쟁에서의 한 국가 한투표원리에서 잘 명시되어진다.

     

     

     

    B. The Treaty of Utrecht and the Balance of Power System

     

     

     

     In addition to state sovereignty, balance of power was firmly established as a central principle governing the European system. The dominant powers in Europe maintained stability through the balance of power mechanism. For most of the period, there were 8 powers [강대국], and many lesser powers [약소국]. As a result, no single power dominated the European system. In reaction to the proposed unification of the French and Spanish crowns in the early 1700s, which might have led to French hegemony [패권] in Europe, the other powers went to war against France to prevent French domination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스페인계승전쟁]. The Treaty of Utrecht (1713), which ended the war, reaffirmed the principle of the sovereign independence of the dynastic states, and established balance of power as a mechanism for systemic stability. (Utrecht is a city of central Netherlands south-southeast of Amsterdam. The Treaty of Utrecht ended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1701-1713).

     

    게다가 국가주권, balance of power(세력균형) 은 유럽 체제를 통제하는 중심적인 원리로 확고해 졌다. 유럽에서의 지배세력은 세력균형의 구조를 통하여 안정성을 유지했다. 기간의 대부분은 8개의 (강대국) 그리고 많은 약소국이 있었다. 그 결과 단독적으로 유럽체제가 지배되지 않았다. 17세기 초 프랑스와 스페인왕들의 통합에 대한 결과로 프랑스의 패권이 초래되었다. 다른 세력들은 프랑스의 지배(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스페인계승전쟁)를 막기위해 전쟁에 참가하지 않았다. Treaty of Utrecht (1713) 위트 레흐트 조약 을 체결하면서 전쟁을 끈났고 왕조체제의 주권 독립성의 원리를 재차 확인 시켰다. 그리고 시스템의 안정성의 매카니즘으로써의 세력 균형을 다시 설립시켰다.

     

     

     

    When Napoleon tried to dominate Europ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other powers in Europe once again went to war against France to restore balance of power and to preserve the dynastic states system in Europe. After Napoleon's defeat in 1815, the Congress of Vienna [비엔나회의] restored the old multipolar order with five major powers balancing each other. Subsequently, relative peace prevailed in Europe between 1815 and 1914. Balance of power was the effective mechanism for peace and stability in Europe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fter the demise of the Holy Alliance [신성동맹], the great powers continu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ettlement of political issues. They maintained peace and stability in Europe through ad hoc conferences generally known as the Concert of Europe [유럽협조체제].

     

    19세기 나폴레옹이 유럽을 지배하려고 시도했었을 때 프랑스에 맞써서 세력균형을 회복하고 유럽의 왕조체제를 보전하기 위해 다른 유럽의 세력들은 즉시 전쟁에 다시 뛰어들었다. 1815 나폴레옹의 패배 이후 비엔나 회의에서 각각의 주요한 5개 세력 균형과 함께 오래된 다극적 세력을 회복시켰다. 그 후 1815-1914년 동안 유럽에서의 평화적인 관계가 계속 유지되었다. 세력균형은 18세기와 19세기 유럽에서의 안정성과 평화를 위한 효과적인 매커니즘이었다. Holy Alliance(신성동맹)은 폐지 이후 가장 강력한 세력은 정치적인 문제의 해결에 대한 책임을 계속 가지게 되었다. 그들은 ad hoc 회의 일반적으로 유럽협조체제로 알려져 있는 것을 통해 유럽에서의 평화와 안정성을 유지시켰다.

     

     

     

    C.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Napoleonic Wars

     

     

     

    Although the world that emerged after the Congress of Vienna still used a balance of power system,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Napoleonic Wars radically changed the na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French spread the idea of popular sovereignty [국민주권], meaning that political power should come from the people, not from monarchs. During the Napoleonic Wars, this revolutionary idea of popular sovereignty was spread throughout Europe, and consequently the dynastic states system and the balance of power were directly threatened. Napoleon also changed the nature of warfare by initiating mass mobilization [대중동원] for war efforts, discarding a professional and mercenary army. Thus the masses [대중], for the first time, were drawn into war and foreign policy processes. The ideology of democratization and nationalism grew strong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eventually changed the rules of the gam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Consequently, dynastic states gradually gave way to nation-states.

     

    비록 비엔나 회의에 대하여 여전히 세력 균형 체제를 나타냈지만 프랑스의 혁명 그리고 나폴레옹 전쟁은 급진적으로 국제적인 정치 상태를 바꾸었다. 프랑스는 정치적인 세력은 군주에서 오는것이 아닌 사람에게서 오는 것이라는 국민주권의 개념을 널리 알렸다. 나폴레옹 전쟁동안 혁명적인 국민주권의 개념을 유럽 전체에 퍼뜨렸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왕조 국가 체제 그리고 세력 균형은 직접적으로 위협이 가해졌다. 나폴레옹은 또한 용병이나 전문적인 군인이 아닌 대중동원을 통하여 전쟁을 본질을 바꾸었다. 대중은 처음으로 전쟁과 외교과정에 그려졌다. 민주화의 개념 그리고 민족주의는 19세기에 더욱더 강하지고 그리고 결국은 국제체제에서의 게임의 규칙을 변화시키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왕조 국가는 점진적으로 nation-states(민족-국가)의 상태가 되었다.

     

     

     

     In this lesson, we talked about the balance of power system and related concepts such as state sovereignty and balance of power. We also talked about landmark treaties such as the Treaty of Westphalia (1648) and the Treaty of Utrecht (1713), which confirmed the principles of state sovereignty and balance of power. We also discussed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Napoleonic Wars and their impact on the international system. Although Napoleon was defeated in the wars, his ideas of peoples sovereignty and mass mobilization for war had a tremendous impact o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eventually the European monarchies were replaced by nation-states.

    이번 강의에서 우리는 세력균형체제와 그리고 거기에 관련된 국가 주권과 같은 개념 그리고 세력균형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우리는 또한 세력균형과 국가주권의 원리를 확인시켜주는 Treaty of Westphalia (1648) ,Treaty of Utrecht (1713)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그리고 프랑스 혁명가 나폴레옹 전쟁에 대해 토론하였고 그들의 국제 체제에서의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비록 나폴레옹은 전쟁에서 졌지만 그의 국민의 주권에 대한 개념 그리고 전쟁을 위한 대중화는 국제 체제에서 큰 영향을 끼쳤고 결국은 유럽 왕조국가들은 민족-국가 체제로 바뀌게 되었다.

     

     

     

     In next lesson, we will continue to discuss the balance of power and examine the origins of World War I.

     

     

     

     

    Lesson 11. THE BALANCE OF POWER SYSTEM, 1648-1914 (2/2)

     

    Readings: Mingst, 25-34.(review)

     

     

     

     In this lesson, we will discuss a central concept of international politics, i.e., balance of power. We will also examine the causes of World War I using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이번 강의에서 우리는 국제 정치 그리고 세력균형에 대한 중심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그리고 세계1차대전이 일어난 이유를 세가지 분석방법을 통하여 알아본다.

     

     

     

    Lesson Objectives

     

     After completing this lesson, you will be able to
    *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balance of power;
    * apply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to explain the causes of World War I.

     

    이번 강의를 마치게 되면

    세력균형의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세계1차대전이 일어난 원인을 3가지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Lecture Notes

     

    A. The Balance of Power

     

     The realists [현실주의자들] believe that the balance of power [세력균형] is the most effective mechanism for 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 multipolar balance of power system [다극적세력균형체제]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produced the longest interval without world war in the modern state system.

     

    현실주의자들은 세력균형이 국제 체제에서 안정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매카니즘이라고 믿는다. 19세기 다극적 세력균형체제는 현재국가체제에서 세계전쟁 없이 가장 오래동안 유지되었다.

     

     

     

     Balance [균형] is the synonym of equilibrium [평형]. It signifies stability within a system composed of a number of autonomous forces.

    균형은 평형과 동의어 이다. 이것은 독립적인 권력의 수로 이루어진 체제안에서 안정성을 의미한다.

     

     

     

     [Balance ---> Chang ----> Balance ]

     

     

     

     

                BALANCE [저울]

     

     

     

    Two assumptions [가정] underlie the policy of balance of power:
    (1) the states (units) to be balanced are necessary for the international system or are entitled to exist;
    (2) without a state of equilibrium (balance of power) among them, one state will gain ascendancy over the others and may ultimately destroy them.

     

    세력균형의 정치아래에는 두가지 가정이 있다.

    (1) 균형된 국가는 국제 체제를 위한 필요 또는 존재의 권리를 받을 수 있다.

    (2) 그들 사이에서의 세력균형은 다른 국가들 위에서의 주도권을 얻을려는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들을 파괴할지도 모르는 한 국가는 없다.

     

     

     

    The Goal of the Balance of Power

     

      The goal of balance of power is to preserve [보존] of all the states (or at least the major powers[강대국]) of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sustain international stability. The goal is not to maintain peace, but to maintain stability. The major powers of the system are willing to go to war in order to restore systemic stability and equilibrium. The balancing may involve either diminishing the power of the stronger power or increasing the power of the weaker power. In other words, states support the weak side (or sides) to prevent any one state from attaining predominance. To put it simply, the balance of power dictates that states (major powers) always support the "underdog" [약자] and oppose the "top dog" [강자] to prevent any country from becoming too powerful.

     

     세력균형의 목표

    세력균형의 목표는 국제 체제 그리고 국제적인 안정성에 대한 모든 국가들의 보존이다. 목표는 평화를 유지하는것이 아닌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체제에서의 주요 세력은 기꺼이 안정성과 평형을 회복시키기 위해 전쟁을 할 수 있다. 균형은 약자의 세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강한 세력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다른 말로 말하면 국가는 어떠한 국가의 우월함을 막기 위해 약자를 지지할 수 있다 단순히 말하면 세력 균형은 주요 세력 국가가 어떠한 국가의 세력이 강해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언제나 underdog(약자)를 지지하고 top dog(강자)를 반대하는 것이다.

     

     Systematic theoretic reflections of the balance of power started in the 16th century and culmin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t was conceived as a protective device of an alliance of nations, anxious for their independence, against another nation's designs for world domination.

     

    세력균형의 체계적인 불신용은 16세기부터 시작되 18세기와 19세기때 정점에 이르게 되었다. 그것은 세계 지배를 위한 다른 국가들의 의도에 대항, 그들의 독립을 위한 강한 열망, 민족의 한 동맹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지되었다.

     

     

     

     

     Examples: a) The wars against France of 1789 against Napoleon b) The coalitions that fought World War II against Germany and Japan c) The Western bi- and multilateral alliances against the Soviet Union.

     

     

     

     

    The Methods of the Balance of Power

     

     The balancing process can be carried on either by diminishing the weight [무게추] of the heavier scale [저울접시]or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lighter one. There are five methods to maintain balance of power.

     

    세력균형의 발전

    무게추를 하나씩 무거운 저울접시에서의 무게추를 다른데로 옮겨서 없애거나 가벼운 무게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평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세력균형유지를 위한 5가지 방법이 있다.

     

     

     

     (1) Divide and rule [분할통치]
    This policy is to try to make or keep the competitors weak by dividing them or keeping them divided. For example, the policy of France with respect to Germany was based on the divide and rule metho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end of World War II, it has been a consistent principle of French foreign policy either to favor the division of the German Empire into a number of small independent states or to prevent the coalescence of such states into one unified nation.

     

    분할통치

    이 정책은 경쟁자들을 만들기 위해 또는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예를 들어 독일에 관한 프랑스의 정치는 분할과 통치 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2차세계대전이 끈나고 17세기부터 그것은 하나의 모순이 없는 프랑스 외교정책 또한 독일 제국 내에서 독립국의 수 또는 하나로 합쳐지는 국가를 막기위해 선호하는 방식이다.

     

     

     

     (2) Compensations [보상]
    Compensations of a territorial nature were a common devic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for maintaining a balance of power.

    19세기 그리고 19세기 세력균형 유지를 위해 영토에 대한 보상은 단순한 장치가 되었다.

     

     

     

     Examples: a) The Treaty of Utrecht of 1713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 division of most of the Spanish possessions between the Habsburgs and the Bourbons
    b) the three partitions of Poland in 1772, 1793, and 1795 (among Austria, Prussia, and Russia) c) the distribution of colonial territories and the determination of colonial or semicolonial spheres of influenc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all these examples, the distribution of power would be approximately the same after the partitions [분할].

     

     

     

    (3) Armaments [군비증강]
    The principal means by which a nation endeavors with the power at its disposal to maintain or re-establish the balance of power are armaments. The armaments race is the typical instrument of an unstable, dynamic balance of power. This leads to an increasing burden of military spending, deepening fears, suspicions and insecurity. Before World War I, German and British navies and French and German armies were engaged in arms races. During the Cold War,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engaged in arms race, and armaments (and arms race) led to balance of power.

     

    군비증강 원리는 세력균형을 다시 설립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한 국가의 노력이다.

    군비증강경쟁은 전형정인 불안정 그리고 동적인 세력균형의 방법이다. 이것은 군비에 대한 투자, 깊은 두려움, 불안정 그리고 의심을 증가시킨다. 1차세계대전 이전 그리고 독일과 영국 해군 그리고 프랑스 그리고 독일의 군인들은 군비증강에 대한 것을 나타낸다. 냉전동안 미국과 소련연합은 이러한 군비증강을 나타냈고 그리고 세력균형을 이끌기 위해 군비증강을 하고 있다.

     

     

     

     (4) Alliances [동맹]
    The historically most important manifestation of the balance of power is in the equilibrium between two alliances. Nations A and B, competing with each other, have three choices in order to maintain or improve their relative power positions. They can increase their own power, they can add to their own power the power of other nations, or they can withhold the power of other nations from the adversary.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세력균형을 나타내는 것은 두 개의 동맹 사이에서의 평형이다.

    국가 A 그리고 B, 서로를 경쟁하는 국가, 이러한 국가들은 그들의 상대적인 세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위해서는 3가지 선택을 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세력을 증가시킬수 있고 그리고 그들은 다른 국가에 대한 세력을 자신들의 세력에 더할 수 있고 또는 적으로부터 다른 국가의 세력을 억제할 수 있다.

     

     

     

     (5) Balancer [균형자]
    The system may consist of two scales plus a third element, the "balancer." The balancer is not permanently identified with the policies of either nation or group of nations. Its only objective within the system is the maintenance of the balance. To paraphrase a statement of Lord Palmerston (British Foreign Secretary in 1848): While the holder of the balance has no permanent friends, it has no permanent enemies either; it has only the permanent interest of maintaining the balance of power itself.
    체제는 균형자의 두가지 또는 세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균형자는 국가의 무리 또는 각각의 국가의 정책에 대해서 영속적으로 확인 할 수 없다. 균형의 유지는 오직 객관적인 체재 내에서 이루어 진다. Lord Plamerston(British Foreign Secertary in 1848) 의 말은 인용하면균형의 소유 동안은 영속적인 친구는 없다, 그것은 영속적이지 않은 적이다, 그것은 오직 영속적인 세력균형 유지의 관심이다


     The balancer is in a position of "splendid isolation." Its isolation is splendid: for, since its support or lack of support of the decisive factor in the struggle for power, its foreign policy is able to extract the highest price from those whom it support.

    균형자는 빛나는 고립 이다. 고립은 빛나는 것이다. 세력을 위해 노력하는 중요한 요인의 지지 또는 부족, 외교정치는 지지하는 사람들로부터 높은 가치를 뽑아낼 수 있다.

     The classic example of the balancer was Great Britain. Henry VIII has once said, "he whom I support will prevail." He had himself painted holding in his right hand a pair of scales in perfect balance, one of them occupied by France, and the other by Austria, and holding in his left hand a weight ready to be dropped in either scale.

    균형자의 좋은 예는 영국이다. Henry Vll 나를 지지하는 그들은 우세에 있을 것이다 그는 그 자신에게 완벽한 균형안에서의 한쌍의 척도?를 오른손에 붙잡았다. 그 나라들 중 한나라는 프랑스에 의해 차지 되었고 다른 나라는 오스트리아에 의해 차지되었고 그리고 그의 왼쪽 손의 무게로써 잡고있는 것은 다른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저울에 대한 설명인듯....

     

     

    .

     

     

     

     

    Henry VIII

     

     

     

     Great Britain was capable of playing a balancer because she had enough power and was detached from European affairs. This tradition of British foreign policy disappeared in recent years with the decline of British power and the growth of American and Russian power. Today the balance of power of Europe is no longer the center of world politics. During the Cold War era (1945-1991), the European balance of power has become a mere function of the world-wide balance of which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the main weights.

     

    영국은 균형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영국은 충분한 세력이 있고 유럽의 관심으로부터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러시아와 아메리카의 성장 그리고 영국세력이 약해지면서 영국 외교정책의 전통은 사라졌다. 오늘날 유럽에서의 세력균형은 더 이상 세계 정치의 중심이 아니다. 냉전이 일어난 동안 유럽은 중요한 무게로 작용하는 미국과 소련연합의 세계 균형에 대한 단순한 기능이었다.

     

     

     

    B. The Causes of World War I

     

     During World War I, 15 million died. After the war, three empires (the Russian empire, the Austria-Hungarian Empire, and the Ottoman Empire) were destroyed. And after the war the US and Japan became major players of international politics.

    세계 1차 대전동안 15만명이 죽었고 전쟁후 세 개의 제국( 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이 파괴되었다. 그리고 전쟁 후 미국과 일본이 국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Why did World War I occur?
    The causes of World War I may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At the international system level, the rise of German power and the increased rigidity in the alliance system were responsible for World War I. After German unification in 1871, German chancellor [수상] Otto von Bismarck [오토 폰 비스마르크] was able to allay the sense of threat on the part of his neighbors until 1890. After Bismarck was forced to resign as chancellor in 1890, the alliance systems of Europe grew rigid until two fixed alliances (a "bipolar" system) emerged. One alliance (the Triple Alliance [3국동맹]) included Germany, Austria, and Italy and the other (the Triple Entente [3국협상]) comprised Russia, France, and Britain. (At the beginning of World War I, Italy changed sides and joined the Triple Entente.) The polarization [극화] of alliances grew more and more rigid, and eventually led to World War I in 1914.

    왜 전쟁이 발생하였나?

    1차 세계대전의 원인은 세가지 분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국제체제 단계에서 독일의 발전은 1차세계대전에 책임이 있다. 1871년 독일 통합 후 독일의 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890년 까지 이웃나라의 위협의 의미를 가라앉혔다. 비스마르크가 1890년 대법관?으로써 재임을 강요받은 후 유럽의 동맹 체제는 확고한 두 개의 고쟁된 동맹체제로 나타났다. 하나의 동맹은(the Triple Alliance[3국동맹]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그리고 다른 하나는 러시아, 프랑스, 영국이 포함된 3국협상이다.

    (1차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이탈리아는 3국협상 편으로 바뀌었다) 동맹의 극화는 더욱더 견고해 졌다 결국 1914년 세계1차대전이 일어났다.

    At the state level, the internal crises of the declining Austro-Hungarian and Ottoman empires, and the German elites efforts to postpone democratic reforms at home were partly to blame for World War I.
     국가 단계에서 오스트리아인-헝가리인 그리고 오스만제국인들의 쇠퇴로 인한 내면적인 위기 그리고 독일 권력자들의 민주화를 연기하기 위한 노력이 있다.

     


    At the individual level, mediocre leaders of European powers at that time, particularly Kaiser Wilhelm II of Germany, who felt a sense of inferiority, facilitated the process that resulted in war. All these factors from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were causes for the war. But the immediate, precipitating cause was the assassination of the Austrian Archduke Franz Ferdinand by a Serbian nationalist in Sarajevo in July 1914.

    개인적인 단계에서 그당시 평범한 지도자와 같은 유럽인 특히 열등감을 느꼈던 Kaiser Wilhelm II of Germany 은 전쟁을 야기시키는 촉진제가 되었다. 이 세가지 분석으로부터의 모든 요인들이 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전쟁을 촉진시킨 원인은 Austrian Archduke Franz Ferdinand by a Serbian nationalist in Sarajevo in July 1914 의 암살이었다.

    By now, you should clearly understand that multiple factors caused World War I and that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are very useful in analyzing international phenomena, including World War I.

     지금쯤은 당신은 명백히 1차세계대전의 복합적 요인을 이해하고 1차 세계대전과 같은 국제 현상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는 세가지 분석단계에 대해 이해해야한다.

     

     13. 집단 안보 체제 (1918-1939) (1/2)

     리딩과제: Mingst, 35-38

     

    개괄: 다음 두 장에서는 집단안보 체제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우리는 국제 연맹의 출현과 쇠퇴, 그리고 세계 2차 대전의 원인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1차 대전 후에, 힘과 비밀에 의한 외교는 자유주의자들에 의해 비난받게 되었다.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은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연맹과 집단안보를 생각해냈다. 두 대전 사이의 기간 동안, 현실주의는 이상주의(자유주의)를 대체하게 되었다. 평화 메커니즘으로서의 집단 안보 체제는 실패로 판명났다. 국제연맹은 효과적으로 공격자들을 벌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주요한 국가, 힘들이 대외 정책 목표를 합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연맹은 국가들이 함께 활동하는 것을 막는 구조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목표: 이 장을 배운 뒤에는 - 국제연맹과 집단안보의 형성에 영향을 준 역사적 배경을 알게 된다 -집단안보의 효과적 운영을 방해했던 국제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게 된다

     

    강의노트

     A. 윌슨의 이상주의와 국제연맹

      세력 균형은 국제적 평화와 국가들의 안정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 주요한 정책 수단이었다. 그러나 세력 균형은 세계 1차대전을 막지 못했다. 세력균형은 인류의 큰 비극인 세계 1차 대전의 발발로써 비난받게 되었는데, 이로서 세력 균형은 효율적인 평화 메커니즘(기제)로서의 신용을 잃게 되었다 (특히 자유주의자들로부터). 결과적으로 국제 평화를 위하여 집단 안보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제와 체제가 고안되어 1차 대전 후에 시험되었다. 자유주의자들(혹은 이상주의자들)은 집단안보체제의 대체물을 찾고자 했다. 자유주의자들은 국제적 평화와 안보는 힘이나 군사력이 아니라 법과 제도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평화 체제로서 집단 안보는 미국으로부터 기원했지만, 세력 균형은 유럽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실행되었다.

     

     미국은 민주주의를 위하여 세계를 평화롭게 만들겠다는 목적으로 세계 1차대전에 참가했다. 미국의 이상주의(American Idealism) 1 8일에 미의회에 의하여 제출된 후, 대통령 윌슨의 평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표되었다. 윌슨은 14개 조항을 선언했다. 그는 일반적인 국가간 동맹은 정책의 독립성과 영토의 완전성을 (강대국 약소국 똑같이) 상호간에 보장해주기 위하여 구체적인 계약에 의하여 형성되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Wilson은 국제동맹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국제 동맹이 정의롭고 영구적인 평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일 될 것이라 믿었다. 국제 동맹은 1919년에 1차 대전을 종결짓는 평화 조약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포함되어 형성되었다. 국제 연맹은 두 가지 측면에서 독특하다. 우선 이것은 일반적인 정치적 특성을 가진 최초의 상설 기구를 만들려는 최초의 시도였다. 다음으로, 이것은 집단 안보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어떠한 공격자라도 나머지 가입국들에 의하여 응징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B. 집단 안보란 무엇인가?

     집단 안보는 모두 무력적 공격에 위협받는 국가를 도와주기로 약속한 국가들 사이의 협의이다. 다시 말해,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공격할 시도를 한다면, 나머지 국가들은 단합하여 그 공격자에 맞서는 것이다. 만일 집단 안보의 의미를 까먹게 된다면, 삼총사를 생각해보라. 그들의 모토는 모두를 위한 하나, 하나를 위한 모두이지 않은가. 만일 그들 중 하나가 위험에 처했다면, 다른 총사들은 그를 돕기 위해 칼을 꺼냈을 것이다.

     

    집단 안보는 그것의 내부적 적응, 순응 때문에 동맹과는 구별된다. 동맹은 외부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형성되었다면, 집단 안보는 집단 내부에서 일어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집단 안보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다음 몇 가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1) 국가들은 평화는 분할할 수 없으며, 어느 국가의 침략은 모두에 대한 침략이라는 것을  반드시 동의한다.

     2) 국가들은 집단 안보 체제의 원칙에 따라 행동하기로 서약한다.

     3) 집단 안보는 중심부의 처분에 따라, 적절한 군사력으로 공격에 대처할 조직을 만드는  중심부의 결정이 있어야 한다.

     4) 어떤 한 국가가 다른 국가들을 침략할 만큼 강해지지 않도록, 국가 간 힘은 폭넓게 분배되어야 한다.

     

     집단 안보 체제는 국제연맹규약에서 처음으로 구체화되었다. 윌슨은 이것이 비밀외교와 무력외교(power politics)를 포함하는 세력균형을 대체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보장해주리라 믿었다.

     

    C, 만주의 실패

    집단안보체제의 첫 시험은 일본이 중국의 만주를 침략하여 Mukden이라는 수도를 점령했던 1931년에 있었다. 1931 9월에 일본 정부는 만주의 한 지역에서 토착민들이 일본이 관리하는 만주 철도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는 일본이 그 사건을 꾸민 것이며 이것을 (만주 전체를 지배하기 위한)군사적 침략의 핑계로 삼으려 했다. 그리고 후에, 만주를 넘어 중국 본토를 침략하기 위함이었다.

     

    연맹의 의회(the Assembly of the League)는 일본의 침략을 비난하고 나섰다. 1932 1 7일에 미국 대통령 후버는 그의 비서 헨리 스팀슨의 이름을 따 소위 스팀슨 독트린(원칙)이라는 것을 발표했다. 이것은 미국이 중국이 군사력으로 인해 어떠한 영토적 변화를 겪는 것을 보고있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중일분쟁에 간섭하지 않았다. 1933년 일본은 만주에 대한 일본의 특권을 비난하는 League로부터 탈퇴했다. 만주를 점령한 후에, 일본은 만주국이라는 괴뢰정권을 세웠다. 루즈벨트 행정부는 일본을 혼내기보다는 달래기로 선택했다. 왜냐하면 미국은 중국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국의 많은 사람들은 중국이 미국의 지원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다. 중국은 현재의 지도부 상태와, 또 공산주의자(communist)와 국수주의자(nationalist)들의 갈등 하에서는 절대 근대화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만일 마지막 황제라는 영화를 봤다면 당신은 아마 영화의 첫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일본이 만주를 침략한 후에 그들은 청나라 왕조의 왕자를 실질적 힘을 박탈당한, 만주국의 허수아비 황제로 만들었다. 마지막 황제는 일본의 중국 침략을 위하여 철저히 이용당하고 조종되었다.

     

    연맹은 일본에게 어떠한 허가로 주지 않았으며, 일본은 중국 침략을 계속했다. 만주 사태는 국제연맹 내에서 제도화된 집단 안보 체제는 공격을 저지하거나 벌하는데 있어서 완전히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D. 에티오피아의 붕괴

    국제연맹의 집단안보 체제의 두 번째 시험은 1935년에 있었던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이었다. 1935 10 2,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에서 총력전을 시작했다. 에티오피아는 연맹의 조약 16조에 기원하여 이탈리아의 무력 공격은 연맹의 다른 국가들에 대한 전쟁의 시도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역사에서 최초로, 무력적 공격에 대하여 경제적인 제재가 시행되었다. 연맹의 50개국들은 이탈리아에 대한 경제적 제재에 참여하였다. 연맹의 합의는, 경제적 제재가 이탈리아에 대해 무기와 전쟁도구에 대한 제한을 포함해야한다는 수준까지 발전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제재가 제안되고 8개월 후, 연맹의 의회는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를 철회할 것을 결의했다. 다시 한번, 집단 안보 체제가 평화와 안보를 위한 기제로서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왜 유럽의 주요한 국가들은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를 철수할 것을 결정했을까? 그것은 아마 무력외교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1936년 초반까지 독일은 유럽안보의 주요한 위협으로 부각되었고, 유럽국들은 함께 나치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탈리아의 협력을 얻고자 했다. 주요 유럽국들을 (특히 영국와 프랑스) 고려하는 한, 에티오피아를 위한 집단안보보다 유럽에서의 세력균형이 훨씬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만주와 에티오피아의 위기 모두에서, 연맹은 집단 안보 체제의 원칙을 지키는 데 실패했다. 에티오피아의 패배 후에 연맹은 세계 공동체 내에서 신뢰성을 잃었고 집단안보 체계는 효과를 잃었다. 연맹(그리고 집단안보체제)의 실패는 결국 세계 2차 대전의 발발로 이어졌다.

     

     다음 장에서는 우리는 계속하여 집단 안보 체제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특히 세계 2차 대전의 원인과 연맹의 취약함에 대하여 집중할 것이다.

     

    14. 집단 안보 체제 (1918-1939) (2/2)

     리딩 과제: Mingst 35-38 (리뷰)

     

    개괄: 이 장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집단 안보 체제에 대하여 다룬다. 윌슨 대통령이 국제연맹과 그것에 내재된 집단 안보 체제를 생각해냈을 때, 그는 영구적인 평화의 해답을 찾았다고 믿었다. 그러나 집단 안보 체제는 철저히 실패했고 세계 2차 대전을 막지 못했다. 이 장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맹의 약점이 세계 2차 대전을 낳은 정치적 환경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것이다.

     

    수업 목표: 이 장을 배운 뒤에는 -국제연맹 시스템의 약점 -2차 대전의 발발 원인에 대하여 이해하게 된다.

     

    강의노트

    A. 연맹 경험의 실패

     국제연맹은 평화의 기제로서의 역할에 철저히 실패했다. 집단 안보 체제는 세력균형을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세력균형에서, 평화와 안보는 강대국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전략적 행동에 의하여 유지된다. 집단 안보 시스템에서는, (최소한 이론적으로는) 공격자에 대한 집단적인 처벌에 의해 평화가 유지된다. 당신이 떠올릴 수 있듯이, 이것은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라는 원칙으로 서술될 수 있다.

     

    연맹의 실패는 수많은 요인들로 설명된다. 먼저, 이것은 공격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처벌하는 과정에 있어서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다. 공격자에 대하여 군사적 대응을 취하자는 연맹의 결정은 추천의 효력만 있었다. 따라서 군사적 대응은 제재를 가할지 말지에 대한 각국의 결정에 달려있었다. 또한, 대부분 결정에 대한 만장일치의 원칙은 공격자가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두 번째로 그 당시 강대국은 연맹의 원칙고수에 일반적인 관심을 공유하지 않았다. 프랑스는 초기에 군사력으로써 독일의 부활에 대비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영국은 주로 그들의 제국을 보호하는 데에 관심이 있었다. 이탈리아는 1935년에 에티오피아를 침략했을 때 프랑스와 영국은 공격에 대한 집단안보를 구하기보다는 독일군으로부터의 위협에 대항하는데 더 관심이 있었다. 프랑스와 영국은 구제사회에서 이탈리아가 고립되는 것을 꺼렸다. 왜냐하면 그들은 독일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이탈리아의 협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연맹 안에 미국의 비참여는 시작부터 매우 약했다. 세계 1차대전 이후 고립주의를 선호하는 미국의 내부 분위기는 비참여에 책임이 있다.

    네 번째로 1930년대 초기에 현상유지와 수정주의 안의 강대국의 분열과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국가 주의는 연맹의 타락을 초래했다.

    집단안보의 간단한 실험은 히틀러가 세계 2차 대전을 시작할 때 완벽히 깨졌다. 그러므로 새로운 세계 창조에 대한 wilsonian vision은 현실과 직면함으로써 붕괴되었다.

     

    B. 2차대전의 기원

     히틀러는 1933년 힘을 모았다. 곧바로 그는 외국 땅을 팽창하고 세계를 지배하려고 시도했다. 그의 모험은 4단계로 나아갔다.

     첫 번째로, 그는 승자에게 높은 전쟁배상금을 주고 독일군사능력을 한정하는 Versailles system.을 폐지시켰다. 1933 10월 독일은 일방적으로 연맹에서 이루어진 국비축소회의와 국가연맹으로부터 나왔다. 1935 3월에는 10만명의 병사를 모으는 것을 더 이상 제한하지 않고 세배에 가까운 군사를 모았다. 그러므로 히틀러는 Versailles Treaty를 무시했다. 1936년에는 히틀러가 독일군사를 전개함으로써 Rineland의 비무장지위를 무시했다.

     두 번째로, 독일은 작은 주변국가를 침략했다. 1938년 독일은 오스트리아와 재결합했다. 1938~39년에 독일은 체코를 합병했다. 1939 9월에는 독일은 폴란드를 침략했다.

     세 번째로, 1940년 독일은 노르웨이, 홀란드, 벨기에, 프랑스를 침략함으로써 유럽에서 우위를 다졌다.

     네 번째로, 독일은 1941 6월 러시아를 침략했고 미국에게 선전포고 했고, 정치적 군사적으로 중대한 실수를 범했다. 이 실수는 결국 히틀러의 사망과 2차대전에서의 독일의 패배를 초래했다. 히틀러가 1939 9월 폴란드를 침략했을때, 집단안보시스템의 연맹의실험은 결국 끝이 났다.

    세계 2차 대전의 이유는 많은 요인을 들 수 있다.

    개인전인 차원에서, 히틀러의 개성과 야망이 컸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서구 민주국가의 우유부단함과 이데올로기적인 분쟁, 전세계 경제 붕괴, 미국의 고립주의가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베르사이유 조약은 결국 독일의 국가주의를 움직이게 만든 결과가 되었다. 또한 히틀러의 부흥을 일으켰다. 더 나아가 미국과 소련의 연맹으로부터의 제외가 집단 안보시스템을 위태롭게 하였다.

     

     

     

     

     

     

    LESSON 16: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공포의 균형체제], 1945-1991 (1/3)

     

    A. The Post-World War II System

     

    After World War II, a new type of international system emerged.

    2차 대전 이후 새로운 유형의 국제체제가 나타났다.

     The new international system was distinct from its predecessors in three respects.

    새로운 국제체제는 세가지 면에서 이전의 체제와 차이가 있다.

     First, the rise of the Third World states [3세계국가] as independent actors made world politics much more complex and dynamic than ever before.

    우선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제 3세계 국가의 등장은 세계 정치를 이전보다 더 복잡하고 다이나믹하게 만들었다.

    World War II served as a great catalyst for change in the direction of de-colonization [탈식민지화].

    2차 대전은 탈식민지화 방향의 변화에 큰 촉매제로써의 역할을 하였다.

    During the war, the colonial powers lost contacts with their overseas colonies totally or partially.

    전쟁 동안에 식민지 시대의 힘은 식민지들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발휘하지 못했다.

    By the end of World War II, France, Great Britain, and Germany had been devastated.

    2차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프랑스 영국, 독일은 황폐해져갔다.

    With Japan's defeat in 1945, a power vacuum was created in East Asia.

    1945년 일본의 패배로 힘의 부재는 동아시아에서 만들어졌다.

    At the same time, native nationalist movements began to emerge.

    동시에 민족주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Nearly 3/4 of the present UN members joined the international system after gaining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현재 UN 가입국의 3/4 2차세계대전 이후에 독립을 얻은 후에 국제체제에 가입했다.

     

    Second, the center of world politics changed from Europe to the U.S. and the Soviet Union.

    둘째, 세계정치의 중심은 유럽에서 미국과 소련으로 변하였다.

    At the end of World War II, the U.S. emerged as the strongest nation in the world, both economically and militarily.

    2차 세계 대전의 끝으로, 미국은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세계에서 가장 강력은 국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The Soviet Union came a close second to the U.S. in capabilities.

    소련은 미국 다음의 국가였다.

    European domination of world politics gave way as the U.S and the Soviet Union became the predominant powers in world politics.

    유럽 국가의 세계정치의 통치권은 세계정치의 주도적 국가가 된 미국과 소련에게 넘어갔다.

     

     

    Third, the invention of nuclear weapons changed the nature of war, once and for all.

    셋째로, 핵무기의 개발은 (한번에 모든) 전쟁의 본질을 변화시켰다.

    In the nuclear age, a world war was no longer considered a rational act to promote national interests.

    핵무기 시대에 세계 대전은 더이상 국익을 증진하는 합리적인 행위로 간주되지 않았다.

    Nuclear weapons are simply too destructive to be used as an instrument of foreign policy.

    핵무기는 외교정책의 도구로 사용되기에는 너무나 파괴적이다.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world experienced two world wars.

    20세기 전반에, 세계는 두 차례의 세계 전쟁을 경험하였다.

    After 1945, a third world war was unthinkable because it would mean the end of human civilization as we know it.

    1945년 이후 3차 대전은 상상할 수 없게 되었다. 왜냐하면 우리가 알다시피 인간문명의 종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As a result, the trends after 1945 in interstate warfare have been in the direction of limited, local wars.

    결과적으로 1945년 이후의 트렌드는 제한된 local 전쟁의 방향으로 되어왔다.

     

    B. The Bipolar System

     

    The post-World War II international system was the bipolar, cold war system [양극, 냉전체제].

    2차대전 이후 국제체제는 양극, 냉전체제가 되었다.

    The international system from 1947 to 1989 was characterized by bipolar structure [양극구조]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wo opposing blocks.

    1947년부터 1989년까지 국제 체제는 양극구조와 두 개의 Block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의 특징이 나타났다.

    The international system of this period was also called the "Yalta system" [얄타체제] since the bipolar structure was determined largely by the leaders of the Allies at the Yalta conference in February 1945. [Yalta is a resort town in the Crimean peninsula in the former Soviet Union].

    1945 2월에 얄타회의에서 동맹국의 리더들에 의해 양극구조가 결정된 이래로 이 기간의 국제체제는 또한 얄타체제라고도 불리었다. (얄타는 옛 소련의 Crimean 반도에 있는 리조트 타운이다.)

    In the bipolar system, military power and diplomatic influence centered around two block leaders that dominated or led lesser units by combining rewards--such as providing security and economic assistance--with implicit or explicit threats of punishment against recalcitrant allies.

    양극체제에서 군사력과 외교력의 영향은  두 대립의 리더(약소국을 지배하는) 사이에 중심이 되었다. --예를 들면 보안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고집 불통의 동맹국에 암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처벌의 위협과 함께(?)

     

     

    In this bipolar world, the decisions and actions of the U.S. and the Soviet Union exercised heavy influe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stablished the general context in which the foreign policies of other countries were carried out.

    이런 양극체제에서 미국과 소련의 행동과 결단은 국제 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으며 다른 나라에 실시되어진 외교정책을 일반적인 context establish 했다.

     

    C. The Origins of the Cold War

     

    Conflicts within the bipolar system contained strong ideological overtones.

    양극체제내에서의 대립은 강한 이데올로기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The most pervasive and persistent conflict in the global system had been the competition, struggle, and occasional crisis between the socialist block in the East and the capitalist block in the West.

    글로벌 체제에서 가장 지속적인 대립은 동양의 사회적 대립과 서양의 자본주의적 대립사이에서의 경쟁, 분투, occasional crisis 였다.

    The two block leaders mutually distrusted and feared each other.

    두 대립하는 리더들은 점차 서로 신용하지 않게 되고 두려워 하게 되었다.

    This mutual distrust and fear produced the Cold War, a dangerous conflictual interaction in which the two opponents hid behind ideological barriers, fixed positions, and frozen values.

    이런 점차적인 불신과 두려움이 냉전(Cold war)을 만들었고, 두 적들의 위험한 대립적 상호작용은 이데올로기적 장벽과 고정된 positions, frozen values 뒤에 숨겨왔다.

    The Cold War was "a period of intense hostility without actual war." World politics in the bipolar world took on the form of philosophical and mor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pposing ideologies.

    냉전은 실제 전쟁없이 격렬한 적대감의 기간이었다. 양극체제에서의 세계정책은 두 대립 이데올로기 사이의 철학적 도덕적 대립의 형태를 하였다.

    The bipolar, cold war system was characterized by a zero-sum game mentality, competition for the future world, and continual self-justification. The Cold War system itself can be sub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height of Cold War (1947-1962); detente (1963-the 1970s); the "little Cold War" (1980-1985), and the end of the Cold War (1989).

    양극, 냉전 체제는 제로섬 게임, 계속적인 자기 정당화, 미래 세계를 위한 경쟁 등으로 특성이 나타났다. 냉전체제는 네 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냉전의 높이 (1947-1962); 긴장완화(1963-the 1970s); 작은 냉전 (1980-1985), 냉전의 종말 (1989).

     

    THE PHASES OF THE COLD WAR

    1945-1947 The onset of the Cold War (냉전의 시작)
    1947-1962 The Height of the Cold War  (
    냉전의 심화)
    1963-1971 The Cold War in moderation (
    냉전의 순화)
    1972-1979 Detente [
    데탕트]
    1980-1985 The Little Cold War (
    작은 냉전)
    1985-1989 The end of the Cold War (
    냉전의 끝)
    1989-present The post-Cold War era

     

    Why did the Cold War start?

    왜 냉전이 시작되엇을까?

    There are three approaches to this question.

    이 질문에는 3가지 이유가 있다.

    According to traditionalists[전통주의자], Soviet expansionism after World War II led to Cold War.

    전통주의자에 따르면 2차세계대전 이후에 소련의 확장론에 의해 냉전이 시작되었다.

    Stalin's failure to allow free elections in Poland, his reluctance to remove its troops from northern Iran after the war, the Communist takeover of the Czechoslovakian government in 1948, Soviet blockade of Berlin in 1948-49, and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in 1950 all played a part in the onset of the Cold War.

    스탈린의 폴란드 자유선거 허용의 실패, 전쟁 후 northern Iran에 있는 군대의 제거의 꺼림,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의 공산주의 인수, 1948~49년에 소련의 베를린 봉쇄, 1950년 북한의 남침, 이 모든게 냉전의 원인이 되었다.

     

    In contrast, revisionists[수정주의자] believe that Americans caused the Cold War.

    대조적으로, 수정주의자들은 미국이 냉전을 야기했다고 믿는다.

    They point out that, at the end of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 was much weaker than the U.S., and showed moderate behavior in its external relations.

    2차세계대전 이후 소련은 미국보다 약했으며 소련은 외적행동에 적당한 행동을 보여주었다고 그들은 지적한다.

    Soft revisionists say that the rise of anti-Communist, hard-liners in the U.S. government after Roosevelt's death in April 1945 was the direct cause of the Cold War.

    soft한 수정주의자들은 1945년 루즈벨트의 사망 이후 미국 정부의 반 공산주의적 행동이 냉전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말한다.

    Hard revisionists state that the nature of the U.S. economy, with its expansionist, capitalist impulse, led to the Cold War.

    Hard한 수정주의자들은 미국의 확장론자, 자본주의적 충동, 미국의 경제의 본질이 냉전을 야기했다고 말한다.

     

    Post-revisionists[포스트 수정주의자] focus on the bipolar structure of the postwar balance of power.

    포스트 수정주의자들은 다가올 전쟁에서 힘의 균형의 양극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After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emerged as the leaders of the two opposing blocs (alliances) that included almost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Confrontation and tension between two bloc leaders were inevitable.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두 대립의 리더로써 두드러진다.  두 대립하는 리더 사이대립과 긴장이 피할수 없게 되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ach of the three approaches has its own validity and contributes to explaining the causes of the Cold War.

    세가지 원인이 각각 냉전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Six issues led to the onset of the Cold War.

    여섯가지의 이슈가 냉전의 시작을 이끌었다.

    (1) Stalin's alienated Truman by not fulfilling his promise to hold free elections in Poland after World War II.

    (1) 2차 세계대전 이후 트루먼은 자유선거를 하겠다는 거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2) The U.S. fanned Soviet distrust by abruptly suspending the lend-lease aid program to the Soviet Union in May 1945.

    (2) 미국은 소련에 원조를 중담함으로써 소련의 불신을 키웠다.

    (3) Differences over the German question deepened the suspicion and fear between Washington and Moscow.

    (3) 독일 문제에 대한 입장차이가 미국과 소련 사이의 의심과 두려움을 깊게 만들었다.

    (4) The Soviet demand for an occupation zone in Japan at the Potsdam Conference in July 1945 and U.S. refusal to grant the demand also heightened tension.

    (4) 소련은 1945 7월 포츠담 회의에서 일본 영역의 소유권을 요구하고 미국은 요구를 거절하면서 긴장감이 더해졌다.

    (5) The U.S. decision not to share the secret of the atomic bomb with the Soviet Union further alienated the Soviet Union.

    (5) 소련과 원자 폭탄의 비밀을 공유하지 않는 미국의 결정은 소련과 더욱 멀어지게 하였다.

    (6) Soviet expansionist polic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the Middle East--especially in northern Iran, Turkey, and Greece--prompted the U.S. government to announce the Truman Doctrine.

    (6) 소련의 확장 정책은 (특히 북이란, 터키 그리스에) 미국정부의 트루먼 Doctrine 발표에 불을 지폈다.

     

    The Truman Doctrine[트루먼 독트린] enunciated in 1947 marked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It stated that the U.S. would protect free peoples of the world from Communist threat. The Marshall Plan[마샬플랜] (1947) was an economic recovery program for Europe designed to strengthen Western democracies against communist subversions. With the creation of the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in 1955, East-West confrontation took on a military aspect as well.

    1947년 트루먼 독트린은 냉전의 시작을 mark 했다. 그것은 미국이 공산주의 위협으로부터 세계의 자유국민을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샬플랜은 1947년 공산주의 상대로 서양 민주주의를 강화하도록 설계된 유럽 경제 회복 프로그램이었다. 1955년 나토의 설립으로 동 서양의 군사적인 면 또한 발생했다.

     

     Notwithstanding the mutual distrust and hostility, the U.S. and the USSR as bloc leaders shared certain goals and behavioral norms. Their interests coincided in the prevention of World War III and the preservation of the gains of World War II, i.e., keeping Germany divided and Japan militarily weak.

    상호 불신과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USSR은 대립하는 리더로써 어떠한 목표와 행동 규범을 공유했따. 그들의 관심은 3차 세계대전의 예방, 2차 세계대전의 이익의 보존, 계속적인 독일 지원, 일본 군사력의 약화에 의견을 같이했다.

    At least in part because of their shared interests, the U.S. and USSR shared certain norms.

    그들의 공유 때문에 적어도 어느 부분에서는 미국과 USSR은 어떠한 규범을 공유했다.

    The U.S. behaved as though it recognized the legitimacy, or at least the reality, of Soviet claims vis-a-vis Eastern Europe.

    The two sides shared a basic rule of engagement, i.e., they tried to avoid direct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양측은 기본적인 규칙을 공유하였고 그들은 서로 직접적인 대립은 피하려고 하였다.

    They also observed the norm that crossing national borders to advance the revolutionary cause was illegitimate (until the Soviet military intervention in Afghanistan in 1979), but that national liberation wars were legitimate.

    소련이 1979년 아프가니스탄에 개입할 때까지 그들은 이웃국가의 국경에 군사적 전진은 비합법적인 규범으로 하였지만 국가의 해방은 합법적으로 하였다.

    The shared goals and norms by the bloc leaders, supported by nuclear deterrence after the late 1950s, made the bipolar international system rather predictable and peaceful.

    1950년대 후반 이후 핵 억제 지원과 대립적인 리더(미국, 소련)에 의해 공유된 목표와 규범은 양극체제를 보다 예측가능하고 평화롭게 만들었다.

     

    LESSON 18: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1945-1991 (2/3)

     

    A. Balance of Terror

     

    As you recall, three systems for international peace and stability-the balance of power system, the collective security system, and the balance of terror system-have been in existence. I

    당신기억으로는 국제적 평화를 위한 체제로는 3가지가 존재했었다. -힘의 균형 체제, 보안체제, 테러의 균형체제.

    In previous lessons, we discussed the balance of power system and the collective security system. Now we will talk about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이전 수업에서는 우리는 힘의 균형체제와 보안체제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제 우리는 테러체제의 균형에 대해 얘기하겠다.

     

    Peace and stability during the Cold War period (1947-1989) were maintained by the balance of terror.

    냉전 중 평화와 안정성은 테러의 균형으로 유지되었다.

    This system was a new way of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이 체제는 평화와 안정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방법이었다.

    Nuclear weapons produced a peculiar form of the balance of power that was sometimes called balance of terror.

    핵 무기는 때때로 테러의 균형이라고 불리는 힘의 균형의 독특한 form을 생산했다.

    The US and the Soviet Union had the capability to destroy each other in an instant, and this situation led to a balance of power between them based on nuclear deterrence[핵억지력].

    미국과 소련은 서로를 바로 파괴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이런 상황이 핵억지력에 기초한 그들 사이의 힘의 균형을 이끌었다.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after World War II was based on nuclear deterrence.

    2차 세계대전 이후 테러의 균형 체제는 핵억지력에 기반으로 했다.

    Deterrence is a process of persuading one's opponent that the costs and/or risks of a given course of action might outweigh its benefits.

    억지력은 그들의 적에게 비용과 위험이 이익에 비해 과하게 주어지지 않도록 설득하는 과정이었다.

    To put it differently, deterrence is based on the following understanding: "If you attack me, I can retaliate to the extent that you will wish that you had not attacked me in the first place."

    억지력은 다음의 이해해 기반한다. "네가 나를 공격한다면 너는 처음에 공격하지 말걸 하고 할정도로 나는 보복할 수 있다."

     

    Effective nuclear deterrence requires two elements:

     

    효과적인 핵 억지력에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1) the capability[능력] to do damage and

    피해를 입히기 위한 능력

    (2) the credibility[신빙성] to use nuclear weapons.

    핵 무기를 사용하기 위한 신빙성

    For nuclear deterrence to work, the two superpowers (the US and the Soviet Union) had the nuclear capability that could devastate each other and the credibility to actually retaliate using nuclear weapons.

    핵 억지력을 작동하게 하려면 두 강대국(미국과 소련)이 서로를 파괴시킬수 있고 핵무기를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복하기 위한 신빙성인 핵무기 사용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Nuclear deterrence depends on convincing the other side that one is irrational enough to use nuclear weapons at the risk of mutual suicide.

    핵억지력은 한쪽이 비정상적으로 핵무기를 사용한다면 상호 자살의 위험에 놓인다는 점의 설득에 달려있다.

    During the Cold War era, the balance of terror was sustained because both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maintained nuclear deterrence against each other (Each had enough nuclear weapons to destroy the other and was ready to use nuclear weapons even at the risk of mutual destruction).

    냉전시대 동안 테러의 균형은 유지가 되어왔다. 왜냐하면 미국과 소련 두 국가가 서로에 대해 핵억지력을 유지해왔기 때문이다.(서로 충분히 파괴하기 위한 핵무기를 가지고 있고 핵무기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되어있다.)

    But a small country like El Salvador in Latin America would not have nuclear deterrence vis-a-vis the U.S. because it lacks both nuclear capability (NO nuclear weapons) and credibility (Since it doesn't have nuclear weapons, it cannot use them against the U.S.).

    하지만 라틴 아메리카의 엘살바도르와 같은 작은 나라가 미국에 마주 향해서 핵억제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B. US-Soviet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lmost went to a nuclear war during the Cuban Missile Crisis of October 1962.

    미국과 소련은 1962 10월 쿠바 미사일 위기동안에 거의 핵전쟁까지 갔었다.

    This was the most dangerous time after World War II in which the two superpowers were seriously contemplating an all-out nuclear war (or mutual suicide).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위험한 때였다. 두 강대국이 심각하게 핵전쟁을 고려하였다.(상호 자살)

    If there was a nuclear war at that time, the human history would have changed once and for all.

    만약 핵 전쟁이 일어났다면 인간의 역사는 바뀌었을 것이다.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on the brink of a nuclear war during the Cuban Missile Crisis, but managed to avoid a catastrophic nuclear war.

    미국과 소련은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핵 전쟁의 직전에 있었지만 치명적인 핵 전쟁을 피할 수 있었다.

    After the Cuban crisis the two superpowers came to a sober realization that a nuclear war would mean mutual suicide and concluded a series of agreements to ease tension and avoid nuclear confrontation.

    쿠바 위기 후에 두 강대국은 핵전쟁이 상호 자살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긴장을 완화하고 핵 대립을 피하기 위한 협정을 맺었다.

    After the crisis, Washington and Moscow installed a hotline, reached an agreement on arms control, and expanded trade.

    위기 후 워싱턴과 모스크바는 핫라인을 설치 군비 통제에 관한 협정 및 무역 확대에 도달했다.

     

    During the Cuban Missile Crisis, the Soviet Union was humiliated because of its inferior military capabilities.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소련은 그들의 열등한 군사 기능 때문에 모욕을 당했다.

    After the crisis, the Soviet Union steadily enhanced its military capability and, by the early 1970s, gained parity (rough equality) with the U.S. in military capability. The Nixon administration [닉슨행정부] pursued detente with the Soviet Union and normalized its relations with China.

    위기 후 소련은 꾸준히 그들의 군사능력을 강화하였고 1970년대 초 까지 군사적 능력면에서는 미국과 거의 동등하였다. 닉슨행정부는 소련과의 긴장 완화를 추구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정상화 하였다.

    Consequently, the 1970s saw relaxation of tension in East-West relations. After President Nixon's visit to Moscow in 1972, an era of the U.S.-Soviet detente started. Subsequently, the two superpowers concluded the SALT I (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treaty [전략무기제한협정] and other bilateral agreements

    결과적으로 1970년대는 동서 관계의 긴장의 이완을 보았다.. 1972년 닉슨대통령의 모스크바 방문 이후 미국과 소련 detente가 시작되었다. 그 후 두 강대국은 전략무기제한협정과 또 다른 협정에 맺었다.

     

    The U.S.-Soviet detente, however, did not last long.

    그러나 미국과 소련의 detente는 지속되지 못했다.

    Expansionist and hard-line policies of the Soviet Union military involvement in Angola and Ethiopia, invasion of Afghanistan, enforcement of martial law in Poland, support of revolutionary movements in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bean, and military buildup in Europe and the Far East antagonized the U.S. and eventually led to an anti-Soviet coalition by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앙골라 에티오피아 아프가니스탄의 침략, 폴란드의 군사법 강화 중앙아메리카와 캐리비안의 혁명적 운동의 지지를 한 소련의 군사적 정책은 1970년대와 80년대 초까지 반소련연합을 이끌었다.

    Consequently, "the little cold war" [작은냉전] started in 1980 and continued until Gorbachev came to power in the Kremlin in 1985.

    결과적으로 1980년에 시작한 작은 냉정은 1985 Gorbachev가 권력을 잡을 때까지 계속 되었다.

    After Gorbachev became the Soviet leader, East-West relations drastically improved, mainly because of the Soviet Union's policy changes.

    Gorbachev 가 소련의 리더가 되고 소련과 미국의 관계는 극적으로 좋아졌다. (소련의 정책 변화 때문에)

    The Soviet Union lost control over East Europe in 1989-1990 and imploded in December 1991, thus ending the bipolar, cold war system that characterized the post-World War II period.

    1989-1990년에 동유럽에 대한 통제권을 잃은 소련은 1991 12월 붕괴되었다. 그로써 post 2차 세계대전의 특징을 보여주었던 양극, 냉전체제는 막을 내렸다.

     

    C. The End of the Cold War

    The Cold War ended in 1989 when the Soviet Union allowed East Germany to unify with West Germany.

    냉전은 서독과 동독의 통합을 허락하면서 1989년 끝났다.

    Why did the Cold War come to an end?

    왜 냉전을 끝냈을까?

    Four factors in combination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냉전을 종식시킨 요인에는 4가지가 있다.

    First, the containment policy against Soviet expansionism was effective.

    첫째, 소련의 확장발전론에 대한 봉쇄정책은 효과적이었다.

    George Kennan, chairman of the State Department's Policy Planning Staff, advocated a policy of containment to cope with the Soviet threat.

    국무부 정책 기획 참모의장인 조지 kennan은 소련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봉쇄 정책을 주창하였다.

    The US subsequently adopted the containment policy, [봉쇄정책] which became the hallmark of US policy in the post-World War period.

    미국은 이후 세계대전기간에 미국의 정책의 특징으로 봉쇄정책을 채택하였따.

    In other words, the containment policy (or containing Soviet threat by military means) became the most important goal of US foreign policy.

    즉 봉쇄정책은 미국 외교정책에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Kennan argued that the Soviet Union was engaged in expansionism posing direct threats to US national security.

    kennan은 소련이 미국 국가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을 초래할 확장 발전론에 관여한다고 주장했다.

    He prescribed that the US should pursue a "long term, patient but firm and vigilant containment of Russian expansive tendencies."

    이 문장 해석 불가ㅠㅠㅠㅠ

    He further predicted that the Soviet power would either "break-up" (or collapse) or gradually "mellow" (or soften) if Soviet expansionism would be contained because the Soviet system contained "seeds" of its own destruction.

    그는 만약 소련이 확장 발전론이 유지된다면 소련 권력은 붕괴되거나 점차 부드러워질 거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소련 체제에는 자신을 파괴시키는 씨앗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Kennan accurately foresaw that the Soviet Union's internal problems (Communist Party's dictatorship, defective economic system, lack of popular support etc.) would lead to its own destruction. Soviet Union's internal collapse in December 1991 was a vindication of Kennan's containment policy.

    kennan은 정확하게 소련 내부 문제는 그들의 파괴를 이끌 것이라고 예견했다.(공산당의 독재가 국민들의 지지가 부족하고 경제적 결함이 있기 때문에)

    1991 12월 소련의 붕괴는 kennan의 봉쇄 정책을 지지하였다.

    Second, the Soviet Union's expansionism in the 1970s resulted in "imperial over-strech,"[제국의 과다팽창] which placed enormous burdens on the Soviet economy and invited a harsh reaction from the U.S.

    둘째 제국의 과다팽창상태인 1970년대 소련의 확장 발전론은 소련 경제의 엄청난 부담을 주었고 미국의 거친 반응을 유발했다.

    The Soviet Union was an empire, and as an imperial power it was providing assistance (material and otherwise) to a number of Communist states and communist movements throughout the world.

    소련은 전 세계의 공산주의와 많은 공산국가의 도움을 주며 empire 했었다.

    To do so was very expensive and caused heavy economic burdens on Soviet Union and facilitated its destruction.

    그렇게 하면서 소련 경제에 큰 부담을 주면서 그들의 붕괴를 촉진하였다.

     

    Third, the U.S. military buildup in the 1980s led to Soviet surrender.

    셋째, 1980년대 미국의 군사력 증강은 소련의 항복을 받아냈다.

    When Ronald Reagan became US president, he drastically increased US military spending and started the so-called the Star Wars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program.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이 되었을 때 그는 미군 지출을 크게 늘리면서 Star Wars(전략 방위 구상) 이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The Soviet Union was forced to increase its own military spending and catch up with the Star Wars program.

    소련은 Star Wars 프로그램을 따라잡기 위해 군사비를 늘릴것을 강요받았다.

    This fierce arms race with the US deteriorated Soviet economic conditions even further and pressured Soviet leaders to seek negotiated solutions on military matters.

    이런 미국과의 치열한 군비 경쟁은 소련의 경제 상황을 악화시키고 소련 리더들에게 군사문제의 해결책을 찾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었다.

     

     Fourth, Gorbachev's perestroika [페레스트로이카] (restructuring) at home and new thinking [신사고] on the international scene facilitated the implosion of the Soviet system.

    넷째, Gorbachev의 국제무대에서의 페레스트로이카와 신사고(new thinking)는 소련체제의 붕괴를 촉진하였다.

    Gorbachev, a leader belonging to a new generation, wanted to improve the Soviet system by introducing reforms, but his reform measures set in motion uncontrollable changes both inside the Soviet Union and abroad.

    Gorbachev (새로운 세대의 지도자) 개혁을 도입하여 소련 체제를 발전시키길 원하였지만 그의 개혁은 소련내부, 외부 모두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Reforms and changes became out of control and eventually lead to the implosion of the Soviet Union in December 1991.
    개혁과 변화는 통제 불능이었기 때문에 결국 1991 12월 소련의 붕괴로 이어진다.

     

     

     

     

     

     

     

     

     

     

     

     

     

     

    LESSON 19: THE BALANCE OF TERROR SYSTEM (1945-1991) (3/3) 

      READINGS: MINGST, 38-49. (REVIEW) 

     

    Lesson 19 : 테러의 균형

      READINGS: MINGST, 38-49. (REVIEW) 

        

     

     Lesson Overview

       In this lesson, we will deal with nuclear weapons and nuclear strategies. First, we will discuss the unique features of nuclear weapons. Second, we will examine the nuclear strategies in the post-World War II era.

     

     수업 개요

       이 강의에서는, 우리는 핵무기와 핵 전략을 다룰 것이다. 첫째, 우리는 핵무기의 고유한 기능을 설명한다. 둘째, 우리는 이후 2 차 세계 대전 시대에서 핵 전략을 검토한다.

     

    Lesson Objectives

       After completing this lesson, you will be able to

    * understand the nature of nuclear weapons; and

    * comprehend a variety of nuclear strategies.

        

     수업 목표

       이 강의를 완료하면, 당신은 다음과 같은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핵무기의 본질을 이해하고

    *  핵 전략의 다양한 이해.

     

     Study Notes   연구 노트

     

     A. Nuclear Weapons  A. 핵무기

     Nuclear weapons introduced totally new aspects to the international system.

    핵무기는 국제 체제에 완전히 새로운 측면을 소개했다(?).

     

    First, nuclear weapons are incredibly destructive. But nuclear weapons, because of its very incredible destructive capacity, are unusable. Nuclear weapons are best served as a deterrent (억지력) against war. If nuclear weapons are actually used, it would mean mutual suicide. Thus, the threat to use these weapons, rather than their actual use, has become of paramount importance.

    첫째, 핵무기는 엄청나게 파괴적이다. 그러나 그 놀라운 파괴 용량 때문에 핵무기는 사용할 수 없다. 핵무기는 최고의 전쟁에 대한 억지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핵무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상호 자살을 의미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무기들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 보다는 사용하겠다는 위협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게 되었다.

    Second, the development of accurate delivery systems (전달 혹은 수송체제), including long-range ballistic missiles (탄도미사일) and cruise missiles (순항미사일), rendered states extremely vulnerable to devastating surpass nuclear attack. States are no longer impermeable (or impenetrable). The destructive capacity and range of nuclear missiles lay the territorial state open to total destruction.

     

     둘째, 긴 범위의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을 포함한 정밀한 전달 혹은 수송체제의 발전은 국가들을 엄청나게 파괴적인 핵무기에 과도하게 취약하게 만들었다.  미국은 더 이상 꿰뚫을 수 없다. 파괴적인 용량과 핵미사일의 범위는 영토 국가 전체 파멸을 열었다.

     

    Nuclear Weapons From Grolier's The New Book of Knowledge

    핵무기에 대한 Grolier의 새로운 지식에 관한 책

     

     Does nuclear deterrence (핵억지) work?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yes and no. Deterrence strategy (억지전략) has been very successful in preventing a general (전면적인) nuclear war. I do not have to remind you that there has been no nuclear war or a world war since World War II. On the other hand, deterrence has not extremely effective in preventing regional and local wars, proxy wars (대리전쟁), or guerrilla warfare. These smaller or unconventional wars (비정규전쟁) often led to crisis and conflicts that involved the U.S. and the Soviet Union, such as the Korean War and the Cuban Missile crisis.

     핵 억지력은 효과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 "아니오"가 있다. 억지 전략은 전면적인 핵전쟁을 예방하는 것에 있어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난 여러분들에게 2차 세계 대전 이래로 핵전쟁이 없었다고 상기시킬 필요가 없다. 반면에, 억지력은 지역적인 전쟁, 대리전쟁, 게릴라전 등을 예방하는 데에는 극도로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소규모 또는 비정규 전쟁들은 종종 한국전쟁과 쿠바 미사일 위기같은 미국과 소련이 관련된 위기와 갈등을 야기시켰다.

        

     Since World War II,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determines the status of states. Nuclear-armed states are granted the status of great powers (강대국), whereas non-nuclear states are considered second-class citizens in the society of states. Therefore, many states have striven to develop and possess nuclear weapons. Currently about 20 states are believed to have the capability to develop nuclear weapons. Canada, Japan, Germany, Sweden, Egypt, Argentina, Brazil, South Africa, and Israel belong to this category of states.

     2차 세계대전 이래로 핵무기의 소지가 국가의 지위를 결정하게 되었다. 핵무장 국가들은 강대국으로 간주되어진다. 반면, 비핵 상태 국가들은 국가들 사이에서 second-class 시민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많은 국가들이 핵무기 제조과정의 발전으로 분투해왔다. 현재 약 20개 국가들은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캐나다, 일본, 독일, 스웨덴, 이집트,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그리고 이스라엘이 이 국가의 범주에 속한다.

        

     Global military spending has exceeded $1 trillion annually since the late 1980s, and it has reduced slightl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Which countries are the biggest military spenders? Of course, the major powers spend most for armaments, but som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re increasing their defense spending at the fastest rates. Japan's military expenditures are about 1 percent of its GNP (Gross National Product). At first glance, it does not seem to be much. But since Japan is the second largest economy in terms of GNP, it has the third largest defense expenditures in the world. From Japan's case, we can easily understand that defense spending as a percentage of GNP may give a misleading impression. We have to look into the actual dollar amount being spent for defense purpo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defense spending. The fastest rate of defense spending has occurred among the developing countries. In recent years, regional arms race is developing in East Asia as China, Taiwan, Malaysia, Thailand, Korea, and Japan are increasing their military spending at a rapid rate.

     

     세계적 군사 지출은 매년 1980 년대 후반부터 일조 달러를 넘어섰다 그리고 그것은 냉전이 끝난 후에 약간 감소했다. 어느 나라가 가장 군사지출이 클까? 물론, 큰 힘이 가장 군비 지출을 하겠지만, 일부의 개발도상국들이 빠른 속도로 국방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군사 지출은 국민 총생산의 약 1 %이다. 언뜻 그것은 많은 것 같지 않다. 그러나 일본은 두 번째경제국가로 생각한다면, 일본은 세계에서 3 번째로 큰 방위 지출을 한다. 일본의 경우, 우리는 쉽게 국내총생산의 비율로 나타낸 군사지출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군사지출의 레벨을 결정짓기 위해 군사목적으로 지출하고 있는 실제금액 양을 보아야한다. 최근 몇년 동안, 동아시아에서는 지역 군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 일본은 그들의 군사지출을 빠른 속도로 증가시키고 있다).

        

    B. Preemptive Attack and Preventive Attack B. 선제 공격과 예방 공격 

       At this point we need to clarify the concepts of preemptive attack (선제공격) and preventive attack.(예방공격) A classic example of preemptive attack is the Israel attack in 1967. "If there is a clear and sufficient threat to a state's territorial integrity and political sovereignty, it must act right away or it will have no chance to act later. But the threat must be imminent. To put it differently, state A carries out preemptive attack on state B, if there is a clear evidence that state B is about to launch an attack against state A. In this case, state A would suffer immensely if it chose not to attack first.

     우리는 "선제 공격" "예방 공격"의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선제 공격의 전형적인 예는 1967 년 이스라엘의 공격이다. 만약 영토와 정치적 주권에 명백한 위협이 될 경우, 지금이 아니면 행동할 기회가 없다고 생각되며 위협이 임박할 때에 행하는 공격이 선제 공격이다. 다르게 말하면 B라는 나라가 A라는 나라에게 공격을 가할 것이라는 명확한 증거가 있을 때 A B를 선제 공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가 먼저 공격하지 않는다면 막대한 고통을 받을 것이다.

       

     "A preventive war occurs when statesmen believe merely that war now is better than later. As we have seen, such preventive war thinking influenced the German general staff in 1914. Many feared that if they waited until 1916, Russia would be too strong for the Schlieffen Plan to work." In other words, preventive attack is carried out in order to "prevent" the adversary from becoming too strong. 

      "예방 전쟁은 정치가가 단지 나중에 전쟁하는 것보다 지금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할 때. 알다시피 1914 년 독일 장군의 생각에 의한 일어난 전쟁이 예방 전쟁이다. 많은 사람들이 1916까지 기다리면 러시아는가 너무  강해질 것이라는 우려로  Schlieffen 계획을 실행했다. , 예방 공격은 적이 너무 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C. First-Strike Capability and Second-Strike Capability C. 1차공격능력과 2차공격능력

     During the Cold War, US-Soviet relationship was stabl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neither side had a first-strike capability (일차공격능력). A first-strike capability means that one could attack and destroy the others retaliatory (second-strike) capability [보복 혹은 2차공격능력] and so suffer only minimal damage in return.

     냉전 동안 미국-소련의 관계가 안정되었다. 이것은 다른 한쪽이 "일차공격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때문 이었다. 1차공격능력은 "한 번의 공격으로 2차공격능력을 파괴하고 오로지 작은 보복만을 받겠다는 의미다.

        

     Effective deterrence requires a second-strike capacity(2차공격능력). A potential attacker may be tempted to launch a surprise nuclear attack on the adversary's retaliatory capacity. If a country's surprise nuclear attack can wipe out the adversary's nuclear retaliatory capacity, the adversary's nuclear deterrent may not be credible. Thus, deterrent effect is a function not of total destructive capacity, but of reliable weapons capable of surviving a surprise attack. If state A possesses the nuclear weapons system that can endure an enemy's surprise attack (first-strike capacity) and inflict unacceptable damage to the enemy, we can say that State A has the second-strike capacity.    

     효과적인 전쟁억지력은 2차 공격능력이 필요하다. 잠재적인 공격자는 아마 상대의 보복 공격 시설에 갑작스런 핵공격을 하려는 유혹을 받을지도 모른다. 만약 갑작스런 핵공격으로 상대의 핵 보복 공격을 없앨 수 있다면 상대국의 핵 억지력은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억제 효과는 총 파괴적인 능력이 아니라 기습 공격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무기 능력을 말한다. A 국가가 적의 기습 공격 (최초 공격 용량)과 감당할 수 없는 데미지를 적에게 가할 수 있는 핵무기 시스템을 보유하는 경우, 우리는 그 국가가 2차공격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Let me try to explain the first-strike capability and the second-strike capability. Let's say there are two men (A and B) fighting on the street. If A knocks B out completely in one punch without receiving a punch from B, we can say A has the first-strike capability. But if A punches B in the face, but B has enough strength left to punch back causing serious damages to A, we can say that B has a second-strike capability and that A does NOT have a first-strike capability.

     1차공격능력과 2차공격능력을 설명하겠다. 길거리에서 두 사람(A, B)이 싸우고 있다고 하자. A B에게 한방도 맞지 않고 B를 완전히 한방에 쓰러뜨렸다면, 우리는 A가 일차공격능력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A B의 얼굴을 때렸으나 B A에게 심각한 데미지를 줄 수 있도록 남아있다면, 우리는 B 2차공격능력을 가졌고 A는 일차공격능력을 가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How to strengthen second-strike capacity?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protect retaliatory nuclear capacity, including an increase in numbers of nuclear weapons and delivery vehicles, dispersal of forces, "hardening" retaliatory weapons, placing retaliatory sources at the maximum possible distance from a potential enemy, concealment of retaliatory weapons, a launch-on-warning policy, and mobile nuclear forces. At present, the most reliable method of decreasing vulnerability [enhancing a second-strike capacity] is mobility. Particularly,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s (SLBMs) [잠수함탑재탄도미사일] are extremely mobile and, therefore, are the most stable element of deterrence.

      어떻게 2차공격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까? 많은양의 핵무기와 배달 차량, 권력의 분산, 보복적인 무기의 경화, 보복적인 원인들을 잠재적인 적들로부터 최대한 떨어뜨림, 보복적인 무기들의 은폐, 경보접수즉시발사정책, 모바일 핵력 과 같은 보복적인 핵보유력 을 예방하는 수많은 방법들이 있다. 현재 취약성을 줄이는[2차공격능력을 향상]시키는 가장 믿을만한 방법은 이동성이다. 특히, 잠수함탑재탄도미사일 (SLBMs)은 매우 이동성이 좋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인 억지력의 요소이다.

     SLBM: Delta IV class (Russian)

     

    LESSON 20 : VIDEO & DISCUSSION 비디오 토론

       

     Watch the video (Doomsday) and answer the questions below.? Post your answers in Toronbang.  운명의날 비디오를 보고 아래토론에 대답하세요 토론방에 꼭 포스트하시기바랍니다.

       

     QUESTIONS:

    (1) Explain preemptive war and preventive war.

    (2) The US claims its invasion of Iraq in 2003 is justified because it was a preemptive war. Do you agree? [Hint: Was the invasion a preemptive war or a preventive war?]

     

      [Lesson 19 20을 보고 토론방에 다음의 질문에 답하세요.

    질문:

    (1) 선제전쟁예방전쟁에 대해 설명하세요.

    (2) 미국은 2003년도 이라크 침공이 선제전쟁이었기 때문에 국제법상 정당화될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세요? [힌트: 침공이 선제전쟁 혹은 예방전쟁 이었는가? ]

     

    참고: 선제전쟁은 국제법에서 합법적으로 허용되는 행위이지만 예방전쟁은 허용되지 않고 있다.

     

     

    (비디오 한글요약)

    이 비디오클립은 핵무기에 관한 비디오 클립으로서, 세계 2차 대전에서 일본에 투하된 핵폭탄과, 수소폭탄의 개발 그리고 소련의 핵무기 개발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핵무기의 위협 속에서 살고 있으며, 그 결과가 어떨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습니다. 이미 1945년 일본의 경우를 통해서 보았기 때문입니다. 1945 8 6일 히로시마에 떨어진 하나의 폭탄으로 수십만명이 사망하였습니다. 하나의 신화로만 여겨지던 것이 이제 악몽이 된 것입니다.

    1945년 미국은 3개의 핵폭탄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4년 뒤, 급속하게 늘어나 170여 개의 핵폭탄이 새로운 적, 소련을 향하게 됩니다. 전후, 스탈린은 동부유럽과 동독을 그 영향력에 놓게 되고, 미국 공군 장군 르메이는 스탈린의 팽창을 저지하고자 합니다. 르메이는 만약 소련과 전쟁을 한다면 가능한 빨리, 효과적으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소련을 폭격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소련은 그가 SAC(Strategic Air Command)의 지휘관이 되었으며, 진지하게 적으로 간주하고 경계하게 됩니다. 2차 대전 동안 수 많은 파일럿을 잃었던 그에게 핵폭탄은 구세주와 같은 존재였고, 소련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핵무기는 미국의 보험과 같았습니다. 하지만 1949 9 19일 소련이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미국에 전해졌습니다. 소련을 습격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트루먼은 이 제안을 거부하게 되고, 미국과 소련은 냉전, 핵무기 교착상태의 새로운 갈등 국면으로 접어들게 됩니다.

    미국은 이미 슈퍼라고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폭탄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1951 11 1일 실험에 성공하여 미국은 히로시마에 떨어진 폭탄보다 천 배 이상 강한 수소폭탄을 보유하게 됩니다. 하지만 9개월도 지나지 않아서 소련 역시 그들의 슈퍼를 개발하는데 성공합니다.

    여전히 미국이 핵에 있어서 우위에 있었지만, 언제까지 그 우위를 지속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었습니다. 아이젠하워는 비밀 정찰을 명령하였고, 소련이 대륙간 미사일을 개발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냉전이 점차 달아 오르고 있을 때였습니다.

    1954 5 8, 오스틴 대위의 RB-47는 소련 비행장과 정확한 폭격기 선대의 크기를 찍기 위해서 소련 국경에 들어갑니다. 소련이 그들의 침입을 알아냈다고 하더라도, 공격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알려진 바로는 RB-47만큼 높이 날 수 있는 비행기가 소련에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소련 전투기 미그 17에 의해서 RB-47는 공격을 받습니다.?

     

     

     

      LESSON 21: DISCUSSION 

       

      Watch the video Kim Jong Ils Nuclear Gamble in Lesson 21and answer the question below in Toronbang. A summary of the video is available at the bottom.

     

    김정일의 핵 도박을 보고 토론방의 질문에 대답하세요 아래 요약이 있습니다.

     

    Question: Should North Korea be allowed to have peaceful (or civilian) nuclear programs? Or should North Korea give up all nuclear programs?? Answer this question in Toronbang.

     

    질문: 북한이 평화적 목적의 핵프로그램을 보유하도록 허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북한이 모든 핵프로그램을 파기해야 할까요?? 북한이 모든 핵프로그램 파기 조건으로 경수로 제공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 요구를 들어줘야 할까요? 이 질문에 관하여 토론방에서 논의하세요.]

     

       

      [비디오 요약]

    이 비디오 클립은 북한의 미사일 실험과 이에 대한 미국과의 협상에 관한 비디오이다. 1998 8 31일 북한은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남한의 햇볕정책을 지지하고 있던 클린턴 정권을 난처하게 만들었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정책이 다시 점검되고, 클린턴은 윌리엄 페리를 다시 부르게 된다. 월리엄 페리의 추천에 따라, 클린턴은 외교적 해결 방법에 전념하고, 2000년 국무부 장관 울브라이트가 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평양을 방문한다. 울브라이트 따른면, 그들은 김정일에 대한 그릇된 정보를 가지고 있었지만, 김대중은 이성적으로 그리고 상당히 수준 있는 대화를 할 수 있었다고 알려 주었다고 한다. 김정일을 만나 본 국무부 인사들은 그를 만난 후 매우 놀랐으며, 김정일이 유머스러우며, 이성적이고, 그의 국가에 대한 자신감이 넘쳐났다고 한다. 북한은 울브라이트 일행을 노동당 50주년 기념식에 초대했으며, 울브라이트는 그 기념식에 매료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말하고 있다.

    다음날 울브라이트와 김정일은 미사일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였고, 김정일은 클린턴의 방문을 거듭 요청하였다. 울브라이트는 북한이 클린턴의 방북을 통해서 미국으로부터 북한이 존재함을 인정받고, 북미간의 외교관계를 형성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김정일이 미사일 프로그램 논의에 있어 상당히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 문제를 클린턴 정권에서 해결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였다. 부시 정권이 들어 선 후, 남한과 북한 모두 부시 정권이 클린턴 정권에 의해서 시작된 대화로의 해결방안을 지속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처음에는 평탄하게 이 문제가 부시 정권에 이양되는 것 같았다.

    남한은 미국의 대통령이 바뀐 후, 부시와의 정상회담을 추진한다. 당시 통일부 장관 임동원에 따르면 새로운 미국정권의 대북정책이 클린턴 정권 대북정책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미국무부 장관 콜린파월로부터 확신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정상회담은 남한이 원했던 것과는 달랐다. 비록 부시가 공개적으로 남한의 햇볕정책을 지지했지만, 비공개적으로 김대중에게 북과의 대화를 끝났으며, 미국은 개입정책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김대중은 매우 실망했으며, 워싱턴에서 돌아오자 마자 북한은 더 이상 남한정부와는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한다.

    미 국방부의 보수주의자인 미국방정책위원회의 리차드 페펠은 인터뷰에서 한번 상대방의 협박에 넘어가면 다음에는 더 큰 협박을 당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남한과 미국의 이해관계가 다를 수 있으며, 남한이 대화를 계속 진행하길 바랄 수 있지만, 부시에게는 미국의 안보가 가장 우선이었다고 밝힌다.

    이제 북한은 부시의 새로운 정책에 직면하게 된다. 미국은 아젠다를 넗히고, 클린턴정권에서 이루어 놓은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에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2001 9 11일 이후, 2002 1월 부시는 의회에서 평화를 위협하는 악의 축을 말하면서 북한을 언급한다. 그리고 북한은 이를 북에 대한 적대적 발언이라 반발하게 된다.

     

     

     

     

     

    댓글

슬루리의 사회 생활 적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