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화의 이해 기출 및 참고 문제 모음_200607교양 과목 족보 2020. 6. 7. 17:27교양과목 ‘동화의 이해’ 강의 기출 및 참고 문제 모음 자료 1. 출제 년도 및 출처 미상. 1. 낭만주의 최종목표 : 세계의 낭만화 2. 두 그림 형제중 섬세하고 뛰어난 문학적 감각으로 그림 형제 작품을 마무리하는데 큰 역할을 햇던 사람은? : 빌헬름 그림(동생) 3. 숲의 이중적 의미 : 위험과 보호 [호수:위험과 즐거움, 미지의세계에로의 입장: 위험=금지된욕망=무의식의영역=죄와의 소통] 4. 우물의 이중적의미 : 보상과 벌 5. 어린이 매거진을 낸 프랑스 작가 : 보몽(창작동화의 대표) 6. 그림형제의 원전의 수정과 보완 - 어린이와 가정동화 : 1)기독교적 윤리 강화 2)교육적 기능 강화 3)상스런부분과 성적인 표현 삭제 4)사회 비판적 동기 내지 내용 약화 7. 그림 형제는 동화를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문학형태라 하여 무엇이라 생각햇는가? : 자연시학 8. 민담의 문체 특징과 문장구조 : 1. 추상적 문체 2 .격리와 총체결합(동화의 중요한 문체특징) 3. 평면성(시간의 무의미함) 4. 승화와 세계함유성 ( 전래동화의 문체적 특징 : 자연시학, 추상적문체의 특징으로, 1) 경이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몰두하게 하는 효과 : 반복과 상승 2) 등장인물과 소도구의 금속화 및 광물화 6) 기적과 변신 ) 9. 낭만주의는 무엇에 반대되는 의미 인가? : 이성적인 것, 합리적인 것 10. 그림 형제가 좋아하는 음악가 : 모짜르트 11. 동물문학의 한 갈래로서 짧은 서사 형식의 장르는? : 우화 14. 프로프의 어떤 기능과 기능을 이어주는 것 : 기능사슬 15. 뤼티의 문체분석이론 중 일차원의 세계 안에서는 저승 세계와 이승 세계를 구분하는 경계가 뚜렷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저승 세계에 속한 인물들과 이승 세계에 속한 인물들이 같은 차원에서 서로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것 : 일차원성 16. 등장인물의 성격및 감정이 매우 단순하게 표현됨 : 성격 및 감정의 평면성(문체특징중) [ 소도구의 평면성 : 별로안쓰임 육체의 평면성 : 고통을 느끼지 못함 내면세계 및 주변 환경의 평면성 : 등장인물의 평면적 묘사 등장인물들의 평면적 관련성 : 단순성격묘사 평면적인시간의 차원 : 젊은사람과 늙은 사람만이 존재 시간의 흐름이 무의미 ] 17. 백설공주와 7난쟁이가 숲에서 대화하는 부분은 어디에 속하는가? : 추적으로부터의 구원 * 독일 낭만주의자들이 동화를 제 4의 문학장르로 인정하는 이유 서정적, 서사적, 극적인 요소를 갖추었음 * 전래동화의 사건구성중 가장 첫번째 단계 : 경계넘기 * 전래동화를 ~~~한 이유로 뭐라고 하는가? 자연시학 * 황금사과에서 지하세계와 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는 무엇인가? : 숫자7 인지 계단인지 뭔지 모르겠네요 이거 걍 문제만 참고하세요... * 상징의 어원인 그리스어 Symbolon은 무슨 뜻인가 : 기호, 특징 * 추상적문체의 특징으로, 경이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몰두하게 하는 효과 : 반복과 상승 3. 그림 형제가 태어난 곳이자 여행 첫 출발지 4. 라푼첼에서 양상추가 의미하는 것 (저희 시험범위는 아니었는데 잘못 내셨어요 ㅋㅋ) 5. 가시장미공주에서 가시와 장미가 의미하는 것 6. 황금사과에서 사과를 잃어버린 것이 의미하는 것 7. 동화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의미에서 생성된 단어? -> 자연시학에 관한 문제였어요. 8. 동화의 장르특징 중에서 병렬구조? 라는 내용... 저 못써서 기억안나요 ㅠ_ㅠ 9. 낭만적 아이러니에 관한 문제도 있었어요. 10. 백설공주에서 마녀가 공주를 죽이려 한 세 가지 소도구(코르셋 끈을 허리띠로 쓴......OTL) 11. 어린이와 가정 동화를 출판하게 도움을 준 두 명의 낭만파 시인 12. 빌헬름이 동화 내용을 수정한 기준 네 가지 13. 구전 전승된 이야기이며 일정한 장소나 역사적 시간과 관련이 깊은 장르 14. 가시장미공주에서 물의 의미 15. 프로프의 이론 중 중요한 것 세 가지 16. 평면성에 관한 설명 17. 충성스런 요한네스에서 자주 나오는 상징적 숫자와 그 의미 18. 신데렐라에서 어머니와 신데렐라를 이어주는 조력자 * 그림형제에게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준 사람은? : 마리아부인 친구들: 브렌타노와 아르님 * 초기낭만파 가운데 ~~~~~라고 말했던 낭만파 시인은? : 프리드리히 노발리스 * 동화 '충성스러운 요하네스'에서 공주의 어떤 행동이 동화문학의 평면성을 보여주는가? : 젊은왕의 청혼을 기계적으로 받아들이는 공주의 행동 [ 일차원성 : 저승 까마귀와 요하네스의 대화, 프로브의20번째기능 : 주인공의 귀환 ] * 전래동화와 창작동화 차이점 5개? : 일시적-영속적 같은모양-새로운창작 변화-교정 구술의 전통-문필의 전통 집합적-개별적 구전적-문서적 * 전래동화의 주요모티브(승화와 세계함유성) : 어머니의 죽음(세속적 모티브) * 초월적, 마법적 모티브 성적모티브 * 백설공주에서 왕비와 공주의 대립은 홀베크가 말한 3가지 유형의 갈등 범주 중 어디에 포함되는가? : 세대간의 갈등 * 스웨덴의 폰 지도우가 말한 민담의 전승보존과 관련된 3가지 특성 : 1) 확실한 기억 2) 활발한 상상력 3) 훌륭한 서사재능 * 황금사과에서 지하세계와 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는 무엇인가? : 황금사과 [바람:절대적 존재의 명령, 정원=피난처] 초기낭만파 슐레겔형제의 잡지:아테네움 신데렐라:잔혹동화 정령설: 셀링 [피히테-자아의 절대성, 예술지상주의 슐라이어마허-우주의 직관, 낭만적 종교철학] 가시장미공주-시간초월성 예언 저주 구원 (민속동화의 일반적 특징 억압 구원 행복) 1. ‘성담’의 미학적 기능은 무엇인가? : 도덕을 중재하는 기능 [강의 8주차 1교시] 9. 홀베르의 이론에 따르면 이야기꾼이 선호하는 청중은 누구인가? : 성인남녀 [강의 10주차 1교시] 10. 그림 동화 ‘세 개의 깃털’에서 세 가지 과제가 주어지는데, 첫 번째는 ‘제일 고운 양탄자 가져오기’, 두 번째는 ‘제일 예쁜 반지 가져오기’인데, 세 번째는 무엇인가? : 제일 예쁜 여자 데려오기 [강의 12주차 1교시] 11. 입문의식의 3단계와 동화의 서사구조는 비교될 수 있는데, 입문의식의 2단계인 ‘문지방. 변화의식’은 동화의 서사구조 중 어느 단계에 비교될 수 있는가? : 전개부(극복) [강의 12주차 1교시] 12. 마법동화의 갈등해소는 무엇과 함께 끝나는가? : 결혼 [강의 10주차 2교시] 13. 그림동화 ‘황금새’에서 과제수행의 조력자는 누구인가? : 여우 [강의 12주차 2교시] 14. 그림동화에서 여성의 입문의식은 외부세계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사춘기 오두막’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데 그림동화 ‘라푼첼’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은? : 숲 속의 ‘성’ [강의 12주차 3교시] 15. 그림동화 ‘일곱 마리의 까마귀’에서 아버지상은 어떻게 그려지는가? : 가족구성원의 생사여탈권을 소유한 절대 권력자 [강의 14주차 1교시] 16. 그림동화에서 나오는 잔혹 행위 중, ‘끓는 물에 집어넣거나 물통에 집어넣어 익사시키기’는 역사적 사실이나 제의 및 원시신앙적 믿음이 반영된 것인데 어떤 믿음이 반영된 것인가? : ‘세상을 정화’한다는 믿음 [강의 14주차 1교시] 17. 그림동화 ‘손 없는 소녀’의 두 가지 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1. 기독교 신앙심의 고취 / 2. 순결 [강의 15주차 3교시] 18. 한국 전래동화의 가족의 수직적 조화는 무엇을 매개로 유지되는가? : 효 [강의 14주차 3교시] 19. 한국 전래동화 ‘손 없는 색시’와 그림동화 ‘손 없는 소녀’에서 각각 편지를 바꿔치기 하여 주인공의 시련을 초래하는 대상은 무엇인가? : 1. ‘손 없는 색시’ : 계모 / 2. ‘손 없는 소녀’ : 악마 [강의 15주차 3교시] 20. 홀베크의 동화분석이론에 따르면 그림동화 ‘백설 공주’에 나타나는 갈등 구조는 무엇인가? : 세대간의 갈등(늙음- 젊음) [강의 10주차 2교시] '교양 과목 족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생활 속 바이오 이야기 기말고사 정리 및 기출문제_200617_R0 (5) 2020.06.17 생활 속 바이오 이야기 중간고사 정리 및 기출문제_200617_R0 (0) 2020.06.17 동화의 이해 기출문제 정리_200607 (0) 2020.06.07 국제관계학개론_기말고사(년도 불확실)_200520_R0 (0) 2020.05.20 국제관계학개론_2011년 2학기 중간고사_200520_R0 (0) 2020.05.20